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10대 재벌 청년고용 실태

    • 보도일
      2015. 10. 7.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심상정 국회의원
- 2010-2014년 10대 재벌 29세이하 청년고용 실태분석 결과 -

< 요  약 >

심상정 의원이 한국고용정보원으로부터 고용보험 DB를 받아 2010-2014년 5년간 10대 재벌의 29세 이하 청년고용 실태 분석

10대 재벌 2010-2014년 5년간 청년고용 감소하고, 박근혜 정부 2년차 2014년에 청년고용 증가율 전년 대비 -2.9%  
  - 전체 직원 중 계약직 비중이 2.2-6.0%인 반면, 청년 중 계약직 비중은 3.6%-10.5% 수준으로 높음
  - 전 직원 중 청년 비중(27.5%→25.0%), 상용직 중 청년 비중(26.9%→24.0%), 계약직 중 청년 비중(44.5%→39.5%) 모두 5년간 감소  
  - 전체 청년고용 증가율(6.4%→-2.9%), 상용직 청년 고용 증가율(2.1%→-2.3%), 계약직 청년 증가율(135.2%→-8.3%)로 악화
    2011-12년 청년고용 증가, 2013-14년 감소는 계약직이 급격히 늘었다 줄어든 지표를 반영, 청년 계약직의 고용불안에 기간제 사용기간 연장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임
  - 2014년 청년 근속기간 27.0개월로 2010년 청년 근속기간 27.9개월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음  

※ 표 : 첨부파일 참조

5년간 10대 재벌 청년고용 비중 30% 넘긴 그룹 LG밖에 없으나 계약직 중 청년 비중은 54.2%-73.9%로 가장 높은 수준
  - 삼성의 청년고용 비중은 37.3%→29.5%로 5년간 –7.8%p 하락하였으며, 현대자동차, 포스코, 현대중공업 청년비중 10%대로 낮음
   · 계약직 중 청년비중은 LG와 한진이 60%대로 가장 높음

※ 표 : 첨부파일 참조

성과 SK의 2011-12년 청년고용 증가율은 상용직이 감소하였음에도 계약직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임

※ 표 : 첨부파일 참조

  - 삼성의 청년 근속기간 2013년부터 제자리
   롯데는 청년고용 비중이 높은 편이나 근속기간은 평균을 밑돌았으며 GS가 10대재벌 중 청년들의 근속기간이 가장 낮음

※ 표 : 첨부파일 참조

10대재벌 의류·화장품 매장과 고객관리·콜센터에서만 청년 채용
  - 지난 5년간 상용직 중 청년 고용비중이 높은 기업은 롯데계열 유니클로(에프알엘코리아)와 GS계열 왓슨스코리아 등 판매·유통 매장이 부동의 1-2위를 차지, 텔레마케팅·콜센터·고객만족 업무 대행 기업에 집중

※ 표 : 첨부파일 참조

  - 현대자동차·포스코·현대중공업 등 대형 제조업체의 청년고용 외면 심각
  - 5인 미만 기업을 제외하고, 청년 고용비중이 가장 낮은 기업은 2010-11년 기아자동차(2.8%, 2.3%), 2012년 SK브로드밴드(2.5%), 2013년 한국공항(3.4%), 2014년 대한송유관공사(2.5%)임

※ 표 : 첨부파일 참조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