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유일의 새정치민주연합 3선 조경태의원은 10월 8일 중소기업청, 특허청 종합국정감사에서 중소기업청 R&D자금의 수도권/대기업 편중, 특허청 산하 공공기관 운영의 개선 등 정책 전반에 대해 강력히 질타하고 개별 사안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중소기업청 R&D자금 수도권, 대기업 편중 심각!! ○ 2014년 기준 중소기업 R&D 지원 예산 7,555억원 중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51.7%인 3,848억원이 집중된 반면, 부산,울산은 6.8%, 광주,전남은 6%에 불과함. ○ 이는 국가 균형발전에 대한 고민이 없는 탁상행정이며, 이로 인해 지역경제 불균형의 악순환이 어이지고 있는 것. R&D지원을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임. ○ 정부 R&D로 범위를 넓혀보면 1개 중소기업 당 지원금은 3.2억원으로, 대기업 평균인 81.6억원의 1/25에 불과함. ○ 세금으로 운용돠는 국가 R&D예산이 특정 대기업에 집중되는 것은 중소기 업과 대기업의 양극화는 물론 중소기업의 혁신기회마저 박탈하는 것임. ○ 정부 R&D 자금의 대기업 편중 문제에 대해 중기청이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함!
산재된 특허청 산하기관을 통폐합하고, 대기업 출신 일색의 산하기관장을 중소기업 인사로 교체해야!! ○ 특허청 산하기관들은 기관명칭도 비슷하고, 기능도 비슷하여 유사중복이라 는 시각이 있음. ○ 직원수가 서너명에 불과한데 연간 억 단위의 정부지원금을 받고 있고, 산하 기관장들은 특허청장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는 등 예산의 낭비가 심함. ○ 산하기관들은 통폐합하여 하나의 기관장 아래에서 기능별 부서를 나누어 업무를 수행하는 통폐합 방안이 필요함. ○ 또한 공무원이 아닌 외부인사를 기관장으로 두는 발명진흥회, 지식재산 서비스협회, 지식재산협회 등의 회장을 대기업 인사가 맡고 있음. ○ 더군다나 이 모든 산하기관들이 지식재산센터라는 한 건물에 특허청과 함께 입주하고 있어, 특허청과 대기업의 유착관계의 오해를 부를수 있음. ○ 대기업 출신 산하기관장을 중소기업 관련 인사로 교체하여 산하기관들이 중소기업 중심으로 운영될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첨부파일
20151008-2015년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중소기업청, 특허청 종합 국정감사.hwp
20151008-2015년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중소기업청, 특허청 종합 국정감사(중소기업청).hwp
20151008-2015년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중소기업청, 특허청 종합 국정감사(특허청).hwp
20151008-2015년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중소기업청, 특허청 종합 국정감사(특허청2).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