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동 원 의원, “농어촌 지방 의석수 사수 공동집회” 참석 - 남원·순창 주민 포함해 전국 곳곳에서 농어민 유권자 2천명 이상 참석... - 참석자들 한 목소리로 농어촌 죽이는 왜곡된 ‘선거구획정 논의’ 바로잡기를 촉구
가뜩이나 어려운 농어촌에 대해 지역적 특성과 대표성은 배제한 채 오로지 인구비례만 선거구 획정논의를 하는 것에 결국 전국 농어민 유권자들이 나섰다.
농어민 주권을 말살하려는 선거구 획정논의에 규탄·항의하기 위해 국회에서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남원·순창)은 6일(화) 오후 2시 서울시 여의도에 소재한 국회 의사당 정문 앞에서 ‘농어촌 지방 주권 지키기 의원모임’ 소속 여·야 국회의원 25명과 전국 곳곳에서 상경한 농어민 유권자 2천여명함께 ‘농어촌 지방 의석수 사수 공동집회에 참석해 농어촌의 대표성과 주권을 배재한 선거구 획정논의를 규탄하고 시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남원, 순창에서도 100여명의 유권자들이 상경해 규탄 집회에 참석했다.
지난해 10월 30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인구편차 2:1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국회의원 선거구는 전체 246 곳 중 62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인구 상한 초과 선거구 37곳을 제외하면 인구 하한 미달 지역구 25곳은 대부분이 농어촌 지방이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판결대로 오로지 인구수 기준만 놓고 선거구를 획정하라고 한다면, 농어촌 지역은 단순히 인구가 적다는 이유만으로 지역 대표성이 완전 무시된 채 농어촌을 대변하는 의석수가 대폭 감소하고, 농어촌의 선거구는 지나치게 광대하게 획정돼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구나 특정 후보자나 특정 정당에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획정하는 ‘게리멘더링’ 현상이 심화될 것이고, 농어촌에 거주하는 유권자들의 목소리는 반영되지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날 집회에 전국 곳곳에서 상경해 참석한 농어민들은 한 목소리로 농어촌 특수성을 무시한 채 진행 중인 선거구획정 논의를 반드시 시정돼 바로잡을 것을 촉구했다.
선거구획정안을 제출해야 시한이 다가 오는데도 농어촌 지역구와 관련해서는 정치개혁특위와 당 지도부에서 원론적인 농어촌 지역구를 줄여서는 안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개진한 채 구체적이 언급이 없자 자칫 농어촌 선거구 축소를 묵인하는 분위기가 되지 않을까 우려한 농어촌 유권자들이 결국 나선 것이다.
오늘 국회 정문앞에서 대규모로 치러진 ‘농어촌 지방 의석수 사수 공동집회’는 내 고장을 스스로 지킨다는 심정으로 농어촌 선거구 사수를 위해 전국 방방곳곳에서 모였다.
강동원 의원은 “무작정 농어촌 선거구를 줄이는 것이 선거획정의 참 뜻이 아니다. 수도권은 웃고 농어촌은 우는 선거구 획정이야 말로 개악 중 개악이다. 농어촌의 지역성 특성과 대표성을 반드시 인정해 농어촌 의석수를 지키는 한편, 농어촌에 거주하는 유권자의 민의가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선거구 획정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고”라고 밝혔다.
※ 사진자료 :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20151006-농어촌 주권 말살하는 선거구획정 논의에 항의해 전국의 농어민들이 나섰다.hwp
20151006-농어촌 주권 말살하는 선거구획정 논의에 항의해 전국의 농어민들이 나섰다 1.jpg
20151006-농어촌 주권 말살하는 선거구획정 논의에 항의해 전국의 농어민들이 나섰다 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