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300만㎾ 송전제약에도 전력당국 나 몰라라

    • 보도일
      2015. 10. 6.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박완주 국회의원
당진서만 100만㎾ 발전소 3기 송전제약
당진에코파워 송전제약에 건설 3년 늦춰
발전제약으로 추가비용 국민부담 연간 수천억
박완주 의원“예견된 송전제약 비용 전력당국이 책임져야”

3조원을 투자한 당진 9,10호 발전기가 송전제약으로 가동이 어려워진 가운데 인근의 100만㎾급 발전소마저 3년간 준공을 늦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박완주 의원(사진.천안을)이 한국전력과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계통운영 현황’을 제출받아 검토한 결과 당진에코파워 발전소 준공이 3년간 연장됐다.

제5차 전력수급계획에 포함됐던 당진에코파워는 당초 2018년 준공하려던 계획을 1호기는 2021년(58만㎾), 2호기는 2022년(58만㎾)으로 늦췄다.

발전소를 지어도 전기를 보낼 수 없기 때문으로 원가가 저렴한 석탄화력(기저발전)을 대신해 값비싼 가스발전기(첨두발전) 등을 가동해야 하는 형편이다.

이는 전력거래소의 비용을 늘려 결국 전기료 인상을 압박해 당진 9,10호기는 발전제약에 따른 전력구입비가 연평균 2879억~6432억원이 예상될 정도로 막대한비용이 필요하다.

당진에코파워 역시 건설이 3년간 늦어지면 116만㎾의 석탄화력발전이 3년간 가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국민들은 연평균 3000억원의 전력구입비를 추가 부담해야하는 우려를 낳고 있다.

더욱이 동일지역에서 100만㎾급 발전소 3기가 동시에 제구실을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지만, 느긋한 전력당국의 대응에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당진지역의 송전제약은 당진 9,10호 발전소의 경우 이미 2011년 감사원 감사로 문제가 드러났으며, 당진에코파워는 5차 전력수급이 결정되면서 예고된 사안이다.

당진 에코파워 건설을 위해서는 당진화력-북당진(345kV) 구간의 송전탑 건설이 필요하다. 설계를 마무리했지만 그동안 주민의 의견을 무시하고 무차별적으로 송전탑을 건설하다 참다못한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쳤다.

당진화력 9,10호기 역시 송전제약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당진화력-북당진T/L을 잇는 345kV 송전탑 신설에 들어가야 하지만 주민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다.

발전제약 비용은 한전과 발전사 전력거래소간 협의를 통해 부담해야 하지만, 국민들은 사용하지도 않는 전기비용을 물어내야 하는 억울한 상황이다.

박완주 의원은“2011년부터 예견된 사안을 4년이 지나도록 전력거래소가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며“송전제약과 발전제약에 따른 제약비용을 더 이상 국민이 부담하지 않도록 전력거래소 등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끝>

※ 그림자료 :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