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초 19대 총선을 앞두고 고양파주지역에서는 시민공동대책위원회 명의로 서울문산민자고속도로 사업(이하 서울문산 사업)에 대한 출마자들의 입장을 묻는 공개질의가 있었습니다. 당시는 최초 계획된 노선인 마곡지구 통과 및 한강교량 설치안이 서울시 반대로 방화대교 접속으로 변경되면서 유료화가 예상되는 등 지역의 반대여론이 고조되던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저는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원점부터 사업을 재검토하도록 요구하겠다고 답변했으며, 당선 후 국토부와 사업자를 수차례 설득한 결과 방화대교 무료접속, 서정마을 소음대책 마련 등 의미있는 성과를 이끌어냈습니다
A씨와 B씨 등으로부터 후원금 5천만 원을 받았다는 시기는 보도내용을 보더라도 서울문산 사업 문제가 지역에서 공론화된 2012년보다 훨씬 이른 2009년부터입니다. 후원인이 서울문산 사업부지에 땅을 갖고 있는지 알지도 못했을 뿐더러 설사 지금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해서 그 후원인을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
지역의 후원인이 정상적으로 후원한 정치자금을 국책사업 토지보상과 교묘히 연계시켜 마치 부정이라도 저질러진 양 왜곡하는 행태에 대하여 개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2. 사업예산 편성 관련
2015년도 서울문산 사업비와 관련 당시 국토위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일부 반대의견이 있었던 바, 서울광명 구간의 지하화 민원에 따라 연계구간인 서울문산 사업예산도 편성하면 안 된다는 주장과 국사봉 등 서울문산 구간의 미해소 민원이 해결되기 전에는 예산을 편성할 수 없다는 주장이 그것입니다.
서울문산 사업은 익산-평택-광명-서울-문산을 잇는 소위 남북통일 대비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돼 왔으며 사업이 지연될수록 재정이 감당해야 하는 보상비 예산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때문에 국토교통부는 2015년내 실시계획 승인 및 보상 착수하고 일부 민원은 계속 협의를 전제로 예산 편성을 요청해왔고 당시 예산소위 위원으로서 이런 정부의 고충을 감안했던 것입니다. 여당의원으로서 국책사업의 적기 시행을 뒷받침한다는 차원에서 수행한 의정활동을 지엽적인 사실과 엮어 폄훼하는 것 역시 심히 유감입니다.
3. 결어
저는 서울문산 사업과 관련 18대 임기말부터 현재까지 지역민원을 최대한 해결하면서 김대중, 노무현 정부 당시부터 추진해온 남북통일 대비 국책사업이 적기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중앙정부, 지자체와 함께 그동안 제기된 많은 민원을 해결했습니다. 최근에도 국토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고양시, ㈜서울문산고속도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참석한 간담회를 개최해 기관간 원활한 협의를 촉구하고 이견을 적극 중재한 바 있습니다. 이제 묻고 싶습니다. 지금까지도 사업을 반대하고 백지화를 주장하는 세력들은 그동안 반대 외에 무슨 일을 했습니까?
끝으로,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사실을 왜곡하고 음해하는 세력이 있다면 더 이상 묵과하지 않고 덕양주민과 함께 단호히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