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의결사안으로 서울 지역에서 최초로 원외당협위원장이 서울시당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서울시당위원장으로 강동호 (現 새누리당 중랑구을 당원협의회 조직위원장, 前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총장)이 선출됐다.
두 번째로는 중앙당 상설위원회 개편안에 대해서 말씀드린다. 기존에 인권위원회 산하기구로 법률지원단이 있어왔다. 각종 선거 및 당무관련 법률자문의 중요성과 양이 계속 증대하고 있고, 법률지원단 업무가 인권위원회와 연관성이 많지 않으므로 별도로 상설위원회로 격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서 법률자문위원회로 신설하기로 했다.
또 기존의 디지털정당위원회와 모바일정당을 구현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온라인정당위원회로 통합·신설한다.
청년위원장 임명방식으로 청년 최고위원이 청년위원장을 겸직하는 것으로 했다.
또 여성 최고위원이 여성위원장을 겸직하도록 했고, 단 여성 최고위원이 두 명 이상 나올 경우에는 최고위원회 협의를 거쳐서 당 대표가 지명하는 것으로 했다.
세 번째 사안이다. 우선추천지역제도 개선에 관련한 내용이다. 개선안으로 첫 번째, 우선추천지역 제도의 내용과 범위를 조정했다. 현행의 정치적 소수자 배려, 또 취약지역 경쟁력 강화 내용과 범위를 취약·약세지역 경쟁력 강화, 약세지역이라 함은 경쟁력이 새누리당이 어려운 지역으로 말씀드릴 수 있다. 또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한다는 측면과, 세 번째 우수인재 영입을 통해서 국민적 기대에 부응한다는 우선추천지역 제도의 내용과 범위가 조정이 있었다.
그 두 번째로 우선추천지역 제도의 대상지역 기준에 대한 개선안이 있었다. 첫 번째는 취약·약세지역, 내용을 말씀드리면 역대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자가 당선된 적이 없는 등 당세가 현저히 약한 지역과 계속되는 국회의원 선거 패배로 당세가 약화된 지역을 말한다.
두 번째 지역으로는 새누리당 강세지역을 포함해서 더욱 더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지역을 대상지역 기준으로 삼았다.
그 다음에 대상 인재에 대해서 말씀드린다. 첫 번째, 경쟁력 있는 정치적 소수자, 예를 들면 여성, 장애인을 비롯해서 청년, 다문화, 또 외부인사 영입 등이 해당되겠다. 두 번째 경쟁력 강화 및 국민적 기대부응을 위한 영입인재가 그 대상이 된다.
세 번째로 우선추천지역 제도를 총량 규제한다. 내용으로는 우선추천을 통한 공천은 전체 선거구, 현 253개 선거구의 20%를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는 것으로 했다. 253개의 20%면 선거구로는 50.6개정도 해당된다.
그 다음 내용으로는 우선추천지역 후보자 선정사유를 공개하도록 결정했다.
그 다음 내용으로는 국민공천 배심원단 견제기능 강화내용이다. 우선추천지역 제도의 대상지역 및 추천 후보자에 대해서 국민공천 배심원단의 적부심사를 실시한다.
그런 내용을 가지고, 그 외에도 지금 혁신비상대책위가 마련해온 혁신안에 대해서 진지하게, 더 구체적으로 반대토론 등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작업들을 계속 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