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대표는 원전안전대책특위 소속 의원들과 함께 오늘 오후 2시 30분 월성원자력본부에 방문해 한수원 조석 사장으로부터 원전운전현황 등을 보고받았다.
추미애 대표는 “재난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며, “주민이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에게 바로 알리는 시스템이 실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가재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예산을 내년에 반영하고, 주민의 피해를 보상하기 위한 예산도 반영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추미애 대표는 “재난현장을 관할하는 것은 지방정부다. 매뉴얼을 갖고 평소 훈련을 하는 등 지자체도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원전 점검이 시급하다”며 “케이블, 노즐 등 내진 설비 밖의 것들도 똑같이 점검해달라”고 당부하는 한편 “이곳부터 예산을 확보해 지질조사를 해야 한다며 후속 대책을 세워달라”고 주문했다.
원전안전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인호 위원장은 “연이은 지진 속에 안전지대가 맞는다고 확신하느냐”고 묻고, “7월5일에 원전2호기를 점검했는데 결과가 공개되지 않는다며 로데이타를 제출해주라.”고 주문했다. 또 4호기를 수동 정지한 것이 노후화에 따른 것인지 등을 물었다.
김춘진 최고위원은 수명을 연장한 1호기 등은 오래 사용해 충격에 취약하다. 특별히 점검을 잘해주길 호소하고 “인재는 노력으로 막을 수 있다. 한수원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문미옥 의원은 “원전이 절차대로 전문가의 손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신뢰가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고, 홍익표 의원은 “지진에 대해서는 보수적으로 임해야한다”며 노후화한 월성1호기에 대해 질의했다. 또 권칠승 의원은 신고리 추가건설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이 아니냐고 물었다.
추미애 대표는 “안전에 여야가 없다.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하고 국가기관과 국민의 쌍방향대응이 있어야 한다”며, 정권 차원의 수세적 자세를 가지지 말고 국가 차원에서 적극 임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추미애 대표는 원자력안전대책특별위원회 설치 등 지진에 대응한 우리당의 활동을 설명하고, 국회 특별위원회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