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남원의료원 파업사태를 초래한 전라북도와 사측 강력 질타

    • 보도일
      2012. 12. 7.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강동원 국회의원
- 강동원 의원, 성실한 교섭과 중재안 수용으로 파업사태 조기해결 촉구 - 강동원 의원(남원·순창)은 중앙노동위원회 중재안마저 거부하는 등 안이하고 미온적인 자세로 일관해서 남원의료원 노사갈등을 심화시키고 결국 파업사태로까지 초래시킨 전라북도와 사측을 강력히 질타하고 조속한 사태해결을 촉구했다. 강동원 의원은 남원의료원 파업사태를 막기위해 7일 새벽까지 노사를 오가며 동분서주 중재활동을 폈으며, 노사교섭에서 사측이 노조가 수용하기 어려운 단체교섭안을 제출함에 따라 최종 결렬되자 원장실에서 꼬박 밤을 지새우며 대화를 지속해 나갔으며, 현재도 사측과 전라북도, 고용노동부 등과 긴밀히 대화해 중재에 나서고 있다. 한편 7일(금) 오전 11시, 도청에서 급히 남원의료원으로 내려온 박성일 전라북도 행정부지사와도 파업사태의 조기해결을 위해 긴밀히 논의했다. 강의원은 의료여건이 취약한 동부산악권의 농산간지역에 공공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남원의료원의 파업사태만은 막아야 한다는 신념으로 노사양측을 오가며 중재역할을 하고 있으며 사태의 조기에 해결을 위해 지역에 상주하며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자와 지역주민, 근로자 모두에게 피해를 주는 의료원 파업만은 막기위해 위해 지역구에 상주하며 고용노동부 전주지청장, 전라북도의원 등과 동분서주하며 중재활동을 펼쳤지만 7일 새벽 1시경 사측이 노조측이 수용하기 어려운 단체협약 최종입장안을 통보함에 따라 결국 단체교섭이 결렬돼 파업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발생시킨 것이다. 의료원 사측이 7일 새벽에 노조측에 통보한 단체협약은 ▲임금체계 및 직제개편시 ‘합의’를‘협의’로 ▲의료원 간부직 채용시‘합의’를‘협의’로 ▲노조간부 인사시‘합의’를 ‘협의’로 ▲징계위원회 해고시 2/3 동의 조항 폐지 등이다. 이를 두고 노조측에서는 개악안이라며 강력히 반발하였다 남원의료원 노조측에서는 상급기관인 전라북도 박철웅 보건여성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사측이 제시한 단체협약안에 대해 파업을 목전에 두고 개악안을 제출하는 것은 사실상 파업을 유도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강동원 의원을 비롯해 고용노동부 전주지청장, 전라북도 도의회 이현주 의원 등은 남원의료원 노사갈등 사태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중재에 나서며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사측과 전라북도의 안이하고 미온적인 인식과 대처로 파업사태를 초래했으며, 이번 파업사태에 대해 의료원 경영진과 전라북도의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전라북도와 사측은 중앙노동위원회 중재안도 이전부터 거부해 노사갈등을 키워왔다. 한편 고용노동부 전주지청에서는 6일 오전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안 2014.1.1부터 적용 ▲인련력충원, 교대근무자 처우개선, 상생의 노사관계 형성 등을 마련하기 위한 노사동수 별도의 위원회 구성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이 발생한 경우 해당기관 대체인력 충원 노력 ▲유산, 사산휴가 태아검진 등 근로기준법 적용 ▲ 그 밖의 노조요구 철회를 중재안으로 노사 양측에 제시했고, 노조에서도 이를 수용한 바 있다 강동원 의원은“환자와 지역주민, 노사양측 모두에게 피해를 주는 파업사태가 발생한 것에 대해 우려스럽고 안타깝다”고 밝히고, 사측과 전라북도가 보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보다 성실한 자세로 단체교섭에 다시 임할 것을 촉구하였다. 특히 강 의원은 “중앙노동위원회 중재조정안 마저 거부한 채 오늘의 파업사태를 초래한 사측과 전라북도는 깊이 자성해야 한다”며 “남원의료원 노조에서도 수용했던 고용노동부 등이 제시한 중재안을 사측과 전라북도가 조속히 받아들여 파업사태 해결해야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