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평균 3,000톤 이상 반송조치, 중국산과 참깨 반송이 제일 많아 ○ 대응책에 대해, 전담부서 및 인력 없고 농산물 수입 상황에 따라 인력 출장 ○ 수입 농산물 반송률을 낮추기 위한 면밀한 수입검사과정 계획 필요 지난 4년간 국내로 수입된 외국 농산물 중 이물질 발견과 품질 하자로 반송된 농산물이 1만3천 톤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철민 의원(안산 상록을)이 2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로부터 받은 ‘수입산 농산물 반송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3년부터 2016년 6월말까지 품위 검사 불합격 등으로 반송된 수입산 농산물이 총 1만 3,186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송된 수입농산물 중 42%에 달하는 규모가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목별로는 40% 규모에 달하는 참깨가 가장 많이 반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3,000톤 이상 반송, 중국산과 참깨 반송이 제일 많아
연도별 반송규모를 살펴보면, 2013년 3,939톤, 2014년 6,009톤, 2015년 2,738톤, 2016년(6월말) 500톤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평균 3,000톤 이상의 수입농산물이 꾸준히 반송돼 왔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또한 반송된 수입농산물 규모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가장 많이 반송된 국가는 중국이다. 무려 5,640톤 규모로 전체 반송 농산물 중 절반에 육박하는 42%에 달한다. 그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가 2,400톤, 인도가 1,517톤, 미국이 1,232톤 등 중국에 이어 세국가가 각각 상위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