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문화재청 내진 항목 없이 안전점검 실시

    • 보도일
      2016. 9. 29.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송기석 국회의원
다보탑 파손은 개별 문화재 대신 사업별 이력 관리 탓 지적도

  문화재청이 지난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 이후 부랴부랴 문화재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부산을 떨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 없이 수박 겉핥기식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9일 문화재청을 상대로 열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송기석(국민의당, 광주 서구갑)은 "문화재청이 지난 20일부터 26일까지 실시한 경상권 국보 및 보물에 대한 안전점검 실시 항목에서 내진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송의원은 또한 "문화재의 이력 역시 사업별로 관리되는 탓에 개별 문화재의 보수점검 및 재난 피해 현황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면서 "특히 이번 지진으로 난간석이 이탈한 불국사 다보탑의 경우, 이탈 부위가 일제강점기(1925년)에 파손돼 접합했던 것으로 확인됐는데 문화재별 이력 관리와 그에 따른 내진보강이 체계적으로 진행됐다면 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주 지진의 경우 5.8 규모였지만, 만약 6.2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이번보다 최소 4~5배 이상의 에너지가 영향을 미쳐 단순하게 기왓장이 떨어지는 정도의 피해에 그치지 않고 문화재가 붕괴될 우려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송기석 의원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것이 명확해 진만큼 지진방재종합 대책을 조속히 수립하고, 2018년부터 운영 예정인 방재정보 통합시스템 구축도 당장 내년부터 가능할 수 있도록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번 기회에 문화재를 공공기관과 마찬가지로 국가기반시설로 지정해 상시적으로 위험 관리(Risk Management)를 하도록 관련 제도를 고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 끝 - (사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