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면세점 총매출 대비 중국인 매출 비중 62% - 품목별로 보면, 화장품 매출이 53%로 압도적 1위 - 제윤경,“유커 의존은 면세점 업계에 성장의 기회이자 위기”
국내 면세점의 중국인 관광객(유커) 의존률이 지난 2013년을 기점으로 급상승하면서 매출 비중에서 최소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K워커힐면세점의 경우 이 비중이 80%에 육박하는 등 유커 의존률 뚜렷했다. 유커가 구매한 품목 1위는 화장품으로 52%를 차지했다.
국회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면세점별 중국인 매출 비중 및 카테고리별 소비행태' 자료를 보면 호텔롯데, 호텔신라, SK워커힐면세점, 동화면세점 등 국내 4대 면세점의 매출(8조 589억원)에서 중국인 관광객의 비중(5조 353억원)은 62%였다.
면세점 별로 보면, 호텔롯데가 운영하는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4조7491억원의 전체 매출에서 중국인 관광객이 올려준 매출이 2조9447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국내인의 매출액은 1조3487억원에 비하면 2배에 달하는 수치였다.
호텔신라의 경우도 지난해 2조5888억원의 전체 매출에서 중국인 매출은 1조6155억원이었다. 같은 기간 내국인 매출은 7221억원에 그쳐 중국인 매출의 절반을 밑돌았다. 카지노 이용객이 많은 SK네트웍스의 워커힐면세점은 2874억원의 매출에서 중국인의 매출 비중이 78.4%에 달해 4대 면세점중 가장 높았다.
서울 시내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동화면세점도 지난해 전체 매출 3226억원에서 중국인 매출액은 2246억원으로 69.6%의 비중을 차지했다. 동화면세점의 중국인 매출 비중이 2013년에는 33.1%였던 것을 생각한다면 불과 3년새 중국인 매출 비중이 2배이상 급증한 것이다.
실제 SK네트웍스 워커힐면세점을 제외한 나머지 면세점의 경우 2013년을 기점으로 중국인 매출 비중이 60%에 육박하기 시작했다. 2014년 롯데면세점의 중국인 매출비중은 58.9%로 전체 매출액중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