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CNN, 고 황금자 할머니 별세 관련기사에서 ‘일본정부의 공식사과“ 부분 대폭 수정

    • 보도일
      2014. 2. 7.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황인자 국회의원
-2월 5일(현지시각) 업데이트...‘일본 외무성’ 인용으로 수위 낮추고 한국정부 입장 강조- CNN(미국)이 1월 26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황금자 할머니 별세 관련 기사에서 표현했던 “본 정부가 여러 차례 공식 사죄를 했다”는 입장을 대폭 수정, 2월 5일(현지시각) 동일 기사에서 문제의 표현을 삭제하고 한국정부의 공식 입장을 강조했다. 특히 업데이트 기사 첫 머리에 ‘편집자 주’를 달아 기사가 2월 5일 업데이트 됐으며, 일본의 일본군위안부 이슈에 대한 반응에 대해 좀 더 상세한 설명을 덧붙였음을 밝힘으로써 독자들의 주의를 환기시켰다. (http://edition.cnn.com/2014/01/26/world/asia/comfort-woman-dies/index.html?iref=allsearch) 이는 지난 1월 27일 황인자 의원이 CNN 공식 홈페이지를 비롯, 국내외 언론에 고 황금자 할머니 관련 CNN 기사의 문제점을 지적한 지 열흘 만에 취해진 조치다. CNN은 2월 5일 기사에서 일본 외무성의 말을 그대로 인용, “일본은 (일본군)위안부 여성들에게 행해진 잔혹 행위에 대해 수차례에 걸쳐 1993년 일본 관방장관 고노 요헤이 (Yohei Kono)의 사과 성명과 같은 진정어린 사죄와 유감을 표현해왔다”며 객관적 입장으로 선회했다. 1월 26일자 보도 ‘위안부 비극의 생생함을 들려 줄 목소리 하나를 잃다’를 통해 “일본 정부는 수차례에 걸쳐 (일본군)위안부 여성들에게 행해진 잔혹 행위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는 표현(Japan's government has formally apologized on numerous occasions for the atrocities against comfort women)을 완전히 삭제한 것이다. 기사는 이어서 “한국정부가 이를 충분한 공식 사과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과 함께 일본 정부에 대해 공식 사과와 관련 범죄 행위에 대해 법적 책임을 인정하라”고 촉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한국정부는 위안부피해자 개인에 대한 일본정부의 직접 보상을 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황 의원이 지적한 민간 주도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의 문제점도 수용한 것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최근 벳쇼 주한 일본 대사가 동아일보와의 인터뷰(2.7.)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일 양국 정부의 협의를 통해 해법을 기대한다는 다소 진전된 입장을 보이긴 했지만, 과거 고노 관방장관의 담화에 대해 수정 의지를 보이고 있는 아베 총리의 발언을 참조하면 일본 정부의 전향적 태도 변화로 보기엔 부족하다. 이번 CNN의 수정 기사처럼 세계 언론이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이며 전쟁 중 성폭력에 경각심을 가지는 보도 시각을 갖길 희망하면서, 이를 위해 우리 정부는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보도들에 적극 대응하고 정치권도 이에 발을 맞춰 협력하면서 “先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 後 정당한 배상”이라는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원칙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함을 재차 강조한다. 황인자 의원은 앞으로도 계속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