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EBS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보도 기능을 허가받은 지 10년을 앞둔 가운데, EBS가 교육계 감시․비판의 기능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은 11일 EBS가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EBS의 뉴스 편성 비율이 1.7% 밖에 되지 않고, 뉴스 기사도 대부분 보도자료․보고서 등을 인용한 보도”라며 “학교급식비리, 입시부정, 사학비리, 사교육비 등 교육계에 문제가 첩첩산중인데, 이를 고발해 개선하기 위한 교육저널리즘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EBS가 보도 기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는 인적 구성에서도 드러난다. EBS는 전국 방송임에도 불구하고 2016년 현재 기자 직군 인력이 11명에 지나지 않는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EBS는 그동안 외부의 여러 문제제기에 대해 예산 제약 등으로 인력 충원이 어려움을 호소해 왔다. 그러나 기자들 중 2명은 뉴스국이 아닌 다른 업무에 배치돼 있는 것으로 확인돼, 이미 확보돼 있는 인력마저 보도 기능에 집중하지 못 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추혜선 의원은 “교육환경․교육제도 개선에 기여하라는 공적 책무를 부여받고도 이를 외면해 왔다”고 비판하고, “의지가 없다면 보도권을 반납하든지, 그렇지 않다면 지난 10년의 보도기능을 평가하고 획기적인 개선책을 내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