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7 전경련&대기업회의 → 7.29 행자부 7시도에 인허가 및 안전 협조요구 - -전경련 기획(?)→정부 보증→ 전경련 추진 & 대기업 부담, 미르와 닮은꼴 - -행자부, 전경련 누구와 협의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는 답변으로 일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국회의원(비례대표)은 행정자치부, 국민안전처, 각 시도에서 제출한 ‘광복 70주년 신바람 페스티벌’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 신바람 페스티벌 행사는 정부 또는 그 이상 권력층이 기획하고 전경련이 주도했으며 대기업들이 비용을 부담한 행사라는 여러 정황과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다. 광복절을 불과 2주일 앞두고 급작스럽게 추진된 전국적 행사, 대기업들을 불러모은 전경련, 참여와 비용부담을 요청받은 대기업들의 부정적 의견과 추진 강행이라는 일련의 상황은 미르재단과 판박이다”고 밝혔다.
서울, 부산, 대전 등 전국 7개 시도에서 개최된 신바람 페스티벌은 표면적으로는 광복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추진한 행사로 알려졌다.
그러나 광복 70주년 신바람 페스티벌은 박근혜 정부 핵심정책인 창조경제를 홍보하기 위해 기획되었고, 행사를 불과 2주일 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 급박하게 추진된 정부 관제행사에 전경련이 모금창구가 되어 대기업들이 돈을 부담하는 정황들이 드러났다.
당초 정부의 광복 70주년 행사 계획에는 없었던 신바람 페스티벌이 갑자기 추진된 배경에 의혹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2015년 7월 16일 행정자치부가 작성한 <제70주년 광복절 중앙경축식 기본계획>에는 신바람 페스티벌이 사전에 계획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작년 7월 29일 행자부는 “정부는 올해 광복 70주년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국민 이벤트를 계획하고 있으니 이벤트 계획 관련 인·허가 조속 지원, 소방지원 등을 적극 협조해 달라”며 전국 7개 시도에 공문을 보냈다. 광복절까지 불과 2주일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 정부가 갑자기 대형 행사를 준비한다며 지방 정부의 협조를 구하고 나선 것이다.
무엇보다 수상한 점은 명목상 정부가 계획한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전경련의 주도로 삼성, 현대차, LG, SK, 네이버 등 대기업들이 실무를 준비했다는 것이다. 행자부가 시도에 보낸 문서를 보면, 해당 지역과 날짜를 특정해 각 기업들과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특히 서울 행사의 경우 후원명칭 사용허가, 안전조치강화 안내 등 전경련 허창수 회장, 이승철 상근부회장 명의로 본격 추진되고 있음이 공문을 통해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