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청소년 4명 가운데 1명은 6.25전쟁의 발생 연도를 알지 못하는 등, 청소년 통일의식 전반이 심각한 수준에 처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심윤조 의원(새누리당, 강남갑)이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통일교육협의회의 ‘2012년 청소년 통일의식 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64개 학교 내 중⋅고등학생 2,382명을 대상으로 통일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청소년의 통일의식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조사 대상 청소년의 35.3%가 통일 및 북한 문제에 관심이 없다고 답하였고 4명 중 1명의 청소년이 6.25전쟁 발생 연도를 모르며(27.1%)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23.8%)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 주민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는 절반이 넘는 52.3%의 학생이 북한 주민에 대해 호감을 갖지 않는다고 답해 통일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이 상당부분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청소년의 통일의식 전반이 우려스러운 상황임에도 통일부 내 청소년 통일의식 함양을 위한 사업 예산은 미비하게 편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심 의원에 따르면 통일부에서 제출한 ‘청소년 대상 통일교육 사업 예산 및 집행액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2013년도 통일교육 사업 전체예산은 총 47억 5,600만원으로 협력기금 출연금 2,000억원을 제외한 동년 통일부 전체 예산 2,222억의 2.1%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사업 예산은 ▲학교통일교육자료 개발⋅보급 ▲대학통일교육 활성화 ▲통일교육 시범학교 지원 ▲학교통일교육 연구대회 ▲대학(원)생 통일논문⋅공고 ▲통일동화 공모 ▲어린이 기자단 운영 ▲통일체험 프로그램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 및 통일교육 전문강사 활용 ▲교사사례발표회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청소년 통일교육 사업 예산은 2010년 1.7%(25억 4,900만원), 2011년 2.0%(41억 7,700만원), 2012년 2.2%(47억 8,700만원)으로 매년 2% 수준의 예산 편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일교육 사업 예산의 저편성은 청소년의 통일의식이 저하되는 문제와 맞물린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지점이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향후 통일한국을 이끌어갈 미래세대인 청소년 4명 가운데 1명이 6.25전쟁 발생 연도조차 모르고 있을 만큼 청소년의 통일의식 전반이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개선하고 대비하기 위한 통일부의 청소년 통일교육 사업 예산은 통일부 전체 예산 대비 2%에 불과할 만큼 턱없이 부족하게 편성되어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부분의 사업이 한두번 참여하게 되는 ‘일회성 사업’인 만큼 통일부에서 교육부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통일교육이 학교 교과과정과 병행해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적극 검토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