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이 함정 근무자들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불량구명동의 일부를 폐기하지 않고 함정에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의원(안전행정위원회 간사, 인천 남동갑)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2013년 문제가 됐던 불량구명동의 중 297벌이 여전히 함정에 남아있었다.
구명동의 제작업체인 ‘○○산업’은 2007.3.23.~2010.12.8. 총 119회에 걸쳐 안전에 취약한 저가의 합성수지(PE) 구명동의 1,857벌을 합성고무(NBR) 구명동의로 속여 해경에 판매했다.
비슷한 시기 ‘○○선박’은 총 34회에 걸쳐 저질의 합성수지(PE) 구명동의 560벌을 납품했다.
지난 2013년 해경은 내부 자체감사를 통해 일부 구명동의에 합성고무(NBR)가 아닌 합성수지(PE) 부력재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고, 수사를 통해 ‘○○산업’과 ‘○○선박’ 운영자를 각각 사기혐의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이후 해경은 해당 불량구명동의 전량을 회수‧폐기했다고 밝혔지만, ‘함정에 비치돼있는 NBR‧CO2식 구명동의’ 전수 조사 결과 ‘○○산업’에서 2007년‧2010년 납품한 200벌, ‘○○선박’에서 2008년‧2009년‧2010년 납품한 97벌 등 총 297벌의 구명동의가 여전히 함정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해경은 2013년 당시 전체 구명동의 중 불량구명동의가 큰 비중을 차지해 전량 폐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으며, 합성수지(PE) 부력재도 구명동의에 사용하는 자재이기 때문에 부력에 큰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합성수지(PE) 구명동의의 경우 부력과 내구성이 모두 강한 합성고무(NBR) 구명동의와 달리 부력은 강하지만 내구성이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명동의의 내구성이 약할 경우 쉽게 마모가 돼 공기가 빠지면서 부력이 약해져 제 기능을 못하게 될 수 있다.
박남춘 의원은 “최우선적으로 교체되었어야 할 불량구명동의가 4년이 지난 현재도 함정에 비치되어있을 정도로 해경이 안일하게 후속대처를 한 것”이라며 “유사시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불량구명동의를 파악하고 전량 폐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20161007-[박남춘 국정감사 보도자료51]전량 폐기했다던 ‘불량구명동의’ 여전히 함정에.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