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회 35회 중 24회 서울개최 - 세종시 국책연구단지 영상회의 시스템을 만들고도 거의 사용 없음 - 연구회의 예산낭비 및 갑질행정에 대한 대책마련 시급
10월 7일 정무위원회 경제인문사회이사회 국정감사는 사상 처음으로 국회-세종간 영상 국정감사로 이루어졌다. 연구회 소관기관 중 15개의 국책연구소가 세종시로 이전하였고, 부산, 울산, 나주, 진천 등 혁신도시로 4개 기관이 이전하였기 때문이다. 국가 정책 브레인들이 국정감사를 위해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조치인 셈이다. 최근 많은 연구들이 융·복합되는 경향에 따라 기반시설들 공유해서 더 효율적이고 질 높은 연구를 위해 세종시에 국책연구단지를 만든 바 있다.
그런데 국책연구소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고, 연구기관을 지원하기 위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하, 이사회)는 이와는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
※ 그림자료 : 첨부파일 참조
심상정 의원실과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이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연구회가 세종시로 이전한 2014년 말 이후에도 각종 회의들이 주로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회는 세종시로 이전 한 이후(2015~2016년 2년간) 총 35회 이사회를 개최하였으나, 이 중 70%에 육박하는 24회를 서울에서 개최하였고, 연구회가 입지한 세종시에서 개최된 경우는 35회 중 단 3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연구회가 주관한 각종 회의도 서울에서 개최되거나, 서울출장도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회의 운영방식은 사실상 세종시에 국책연구단지를 만든 이유를 무색하게 하는 것이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더구나 소관기관이 전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관계로 세종시 국책연구단지에는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해 놓았음에도 이 영상회의시스템을 거의 가동해 본적이 없다는데 심각성이 있다.
연구회의 국정감사에서 심상정 의원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산하 연구기관, 관련 부처가 대부분 세종시에 소재하고 있고, 잦은 서울출장은 예산낭비와 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는데 이를 최소화할 방안을 마련해라.”고 이사회에게 요구하였다.
첨부파일
20161007-[국감_보도자료] 경인사연 회의 서울에서 70%, 왜 세종에 국책연구단지를 만들었나.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