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공정거래위원회의 4대강 사업 2차 턴키 공사 입찰 담합 의혹에 대한 조사는 당연한 결과이다

    • 보도일
      2013. 3. 27.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기준 국회의원
공정거래위원회가 4대강 사업 2차 턴키공사 입찰 담합의혹에 대하여 조사에 착수하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2012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4대강 사업 2차 턴키 공사 입찰 담합 의혹에 대하여 민주통합당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강력한 문제제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태도는 비판받아 마땅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늦었지만 입찰 담합 의혹에 대하여 조사에 착수하였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대상을 확대하고, 철저한 조사를 실시하여, 국민으로부터의 불신을 해소하여야 한다. 지난 2012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민주통합당 김기준 국회의원은 “입찰금액이 높게 형성되고, 투찰 비율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점을 들어 4대강 2차 턴키 사업의 입찰 담합 의혹을 강하게 제기”한 바 있다. 그리고 주요 대상 건설사로는 1차 턴키 사업 때 입찰 담합행위에 참여한 현대, 삼성, 대우, 동부, 코오롱, 한진중공업을 지목하였고, 2차 턴키 사업에서 실제로 사업권을 획득한 삼성, 대우, 한진중공업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였다. 그러나 이번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에 착수한 건설사를 보면 두산건설, 한진중공업, 삼환기업, 한라건설, 계룡건설 등 5개사로 알려지고 있다. 즉 삼성물산과 대우건설이 빠져있다. 4대강 2차 턴키사업에서 삼성물산은 낙동강 하구둑 증설과 영주댐 건설 사업으로 432,014백만원을 수주하였고, 대우건설은 보현댐 건설을 156,850백만원에 수주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물산과 대우건설이 빠진 것은 다분히 4대강 입찰 담합 사건 조사를 축소, 은폐하고자 하는 의도로 보일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축소, 은폐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 조사대상을 확대하고, 철저한 조사에 착수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 그럼으로써 국민적 불신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정거래위원회로 거듭나길 바란다. ※표: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