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년간 자소서 표절로 인한 불합격자 3,580명 - 자소서 표절의심 학생 중 90%이상이 불합격한 것으로 나타나
□ 12월 7일(수) 염동열 의원(새누리당, 강원도 태백영월평창정선횡성, 새누리당 수석대변인, 교문위간사)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자기소개서(이하 자소서)표절로 인한 대학 불합격자가 3,580명이라고 밝혔다.
□ 매해 자소서 표절하는 학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불합격자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최근 3년간 대학 지원자 중 자소서 표절 의심 수준 이상 학생이 평균 1,300여명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90%이상의 학생이 대학에 불합격 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4학년도-2016학년도 자기소개서 유사도검증시스템 결과> ※ 표 : 첨부파일 참조
□ 연도별로 보면, 2014학년도 입시에서 110개 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에 지원한 32만4,060명의 자기소개서를 유사도 검증시스템으로 조사한 결과 1,275명이 적발됐다. 이들을 재심사한 결과 1,163명이 떨어지고, 112명만이 합격했다.
□ 2015학년도 입시에서는 106개 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에 지원한 38만 8,309명의 자기소개서를 조사한 결과 1,271명이 적발됐고, 이들을 재심사한 결과 1,156명이 떨어지고, 115명만이 합격했다.
□ 2016학년도 입시에서는 109개 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에 지원한 42만 8,277명의 자기소개서를 조사한 결과 1,364명이 적발됐고, 재심사한 결과 1,261명이 떨어지고 103명만이 합격했다.
□ 대교협이 개발한 자소서 유사도 검색시스템은 2013년 입시부터 의무화됐다. 자소서 내용이 5% 이상 비슷하면 대학은 학생과 교사에게 전화로 확인하거나 현장실사, 심층면접 등으로 표절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 표절이나 대필이 확인되면 입학취소도 가능하다.
□ 따라서 올해 입시에서 자기소개서 표절 등에 따른 불합격자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염동열 의원은 "자기소개서를 표절한 사실이 검색시스템을 통해 적발된 수험생 대부분이 결국 대입에 불합격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문제는 이럼에도 불구하고 자소서 표절학생과 불합격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학부모와 학생들은 자기소개서 표절이 정말 위험한 모험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하며, “교육당국도 이런 인식 확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