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인원은 고작 34명, 그 중 교육이수자는 13명뿐 - 40개 문화재에는 기본 방재시설 하나도 없어
경기도가 지정한 683개 문화재의 안전관리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문화재를 관리하는 안전 담당자가 34명에 불과한데다 그 관리자 중 교육 이수자는 13명에 불과하고, 40개 문화재에는 기본적인 방재시스템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경기도에서 지정한 문화재 안전담당자는 34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별 1명꼴로 배치되어 있다. 도지정 문화재가 가장 많은 안성시의 경우, 1명의 안전담당자가 54개의 문화재를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 게다가 34명의 담담자 중 ‘소방 등 안전관련 교육’을 이수한 자는 13명으로 1/3 수준에 불과해 문화재 화재사고 발생 시 제대로 된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경기도는 문화재별로 ‘방재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 방재시스템 설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원시의 ‘수원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광명시의 ‘이원익선생묘 및 신도비’, 김포시의 ‘심연원신도비’, 남양주시의 ‘남양주수종사 팔각오층석탑’ 등 40개의 문화재에는 소화기, 소화전, 감지기, CCTV, 방수총, 피뢰침 등 방재시스템이 1개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이용호 의원은 “경기도는 도지정 문화재 재난방지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해 매년 수억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관리조치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라고 지적하며, “문화재는 한번 사고가 나면 되돌릴 수 없는 피해를 입는다. 보수를 하면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상당 부분 상실되기 때문에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칠 수도 없다. 문화재 안전에 대한 철저한 예방 의식과 대비로 사고 발생을 사전에 막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