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은 경제 위기가 장기화되고 있으며, 미국도 재정 절벽(fiscal cliff)으로 재정 긴축이 불가피하고, 성장 엔진인 중국도 경제성장률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세계 경제의 장기 동반 침체 가능성이 증가하는 등 글로벌 경제는 불확실성이 상시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 상황으로 주택가격이 폭락할 경우 금융기관의 부실화 등 거시경제의 불안정성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대외의존도가 높아서 외부 충격에 취약한 구조를 가진 우리나라로서는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내재적 취약성이 증폭되면서 위기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잠재적인 내우외환 (內憂外患) 위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국민이 꿈꾸는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일자리ㆍ성장, 복지와 경제민주화 ... 시대가 요구하는 과제들을 어떻게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인가?
여의도연구소에서 각 계의 지혜를 모으기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이하 생략」
※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