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기간 신항 사업실적은 72% 증가, 기본계획의 50% 넘는 초과물량 처리
- 부산 북항 몰락하는데 항만기본계획 이대로 문제없나?
○ 부산 북항의 사업실적이 최근 3년간 20%이상 감소추세를 보여 왔으며, 북항 신선대부두 운영사 중 일부는 1년째 부두 임대료를 체납하여 그 금액만 200억원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대수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이 부산항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북항의 사업실적은 870만TEU에서 760만TEU로 13% 감소했으며, 2013년에는 672만TEU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이를 반영할 경우 23%의 실적감소가 우려되고 있다.
○ 반면 신항의 경우 같은 기간 사업실적이 2010년 548만TEU에서 2012년 944만TEU로 72%의 실적 증가를 기록해왔으며, 선석당 처리물량 또한 기본계획 대비 최고 5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신항 선석당 기본계획 대비 실제 처리량
기본계획 / 실제 처리량
– 1부두 : 45만TEU / 41만TEU
– 2부두 : 46만TEU / 55만TEU — 20%
– 3부두 : 40만TEU / 61만TEU — 53%
– 4부두 : 40만TEU / 50만TEU — 25%
○ 이러한 신항 초과물량 처리 실적에 비추어 볼 때, 신항 관련 항만기본계획이 실제 처리량에 비해 낮게 책정되어 불필요한 부두가 과잉공급 됐고 결국 기존 부두(북항)의 사업실적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 경대수 의원은 “북항 사업실적 감소 및 일부 운영사의 적자 행진, 그리고 신항의 초과 물량 처리 실태는 항만기본계획에 문제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 ”이라 지적하고 “북항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