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부산항만배후단지 조성에 2,682억 투입됐지만 성과는 ‘글쎄…’

    • 보도일
      2013. 10. 25.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경대수 국회의원
- 입주기업 특혜에도 외자유치 및 고용수준 등 운영실적은 70~80%에 머물러 - 2020년까지 배후단지 2,725㎡ 추가 공급계획 ○ 매입비용 등 배후단지조성에만 국비 1,341억, 공사부담 1,341억 총 2,682억원이 투입된 부산항 항만배후단지 운영실적이 목표대비 70~80%에 머무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 경대수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이 부산항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2013.9월말 현재 부산항 항만배후단지 운영실적’에 따르면, 화물창출 실적은 826천TEU로 목표대비 90%의 성과를 보였으나, 외자유치는 목표액 782억원 중 647억원(목표대비 82%), 고용수준은 목표 2,495명 중 1,782명(목표대비 71%)으로 목표실적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화물창출(물동량) : 항만을 통해 외국에서 들어온 제품을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을 통해 재가공, 조립, 포장 등의 공정을 거쳐 다시 외국으로 수출하거나 국내로 수입하는 것 ○ 항만배후단지에 입주한 30개 입주기업은 주변 시세의 10%도 안되는 임대료 특혜를 받고 입주했지만 목표한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외자유치 부분에서 30개 입주기업 중 10개 기업이 실적 미달을 보였고, 실적 부족 10개 기업 중 7개 기업의 실적은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 고용수준도 마찬가지다. 30개 입주기업 중 60%에 해당하는 18개 기업이 실적 미달로 나타났으며, 한 기업의 경우 고용계획은 410명이었으나 실제로는 고작 25명의 고용실적을 냈을 뿐이다. ○ 경대수 의원은 “입주 기업체의 투자에 대한 성과 달성을 위해 입주 업체를 독려하고,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엄격한 실적평가를 통한 임대료 차등 폭 확대 등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