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중 1명꼴 비만, 20대 비만율 남자가 여자의 2배!
소득 상․하위 25% 비만 증가율 18배 차이, 가난할수록 살찐다!
비만 관련 23개 질병 진료비 12조638억, 엄청난 사회적 비용 발생!
인재근 의원, “비만은 건강뿐만 아닌 경제․사회 문제, 총체적인 대책 마련해야”
『인재근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도봉갑)』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만19세 이상 성인의 비만유병률이 32.8%로 나타났다. 이는 3명 중 1명꼴로, 5년 사이 1.7%p 상승한 수치다.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 비만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19세 이상 성별 비만유병률은 각각 남자 36.3%, 여자 28.0%로 확인됐다. 특히 20대 남녀의 경우 남자(30.5%)가 여자(13.6%)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거주지역과 소득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동 단위 지역의 비만유병률은 31.9%였으나 읍면 단위 지역의 비만유병률은 37.0%로 동 단위보다 5.1%p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득수준 상위 25%의 비만유병률은 30.1%를 기록한 반면 하위25%의 비만유병률은 34.7%로 더 높게 나타나 ‘가난할수록 살찌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향후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거주지역 차이에 따른 비만유병률을 5년 전인 2008년과 비교한 결과, 동 단위 지역은 0.8%p 증가한 반면, 읍면 단위 지역은 6.0%p나 증가해 6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상위25%는 0.1%p, 하위25%는 1.8%p 증가해 18배의 차이를 나타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른 한국의 성인 비만율은 4.6%※로 OECD회원 34개 국가 중 일본(3.6%)다음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5~17세 아동 비만율은 남성 25%, 여성 20%로서 OECD 평균(남 23%, 여 21%)보다도 높고, 비만 순위도 12위를 기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 국제적으로 체질량지수(BMI) 30kg/㎡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동일한 성, 연령, 체질량지수임에도동서양인의 체지방량 차이가 있어 국내에서는 WHO아태지역과 대한비만학회가 제시한 기준(BMI 25kg/㎡)을 적용
※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
사회적 비용도 문제다. 『인재근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건강보장 재원확보를 위한 건강위험요인 부담금 부과 방안」에 따르면 비만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된 23개의 질병에 대한 총 진료비 지출규모는 12조638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비만 관련 질병의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은 2조9,651억 원으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은 “세계는 지금 비만과의 전쟁 중이다. WHO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한 이래 선진국들의 비만규제 정책은 활성화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비만을 그저 ‘게으름의 산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면서 “비만은 건강문제인 동시에 엄청난 비용을 초래하는 경제문제이며 양극화와 연결되는 사회문제다. 이대로 방치하면 우리의 건강과 경제, 미래를 모두 망칠 것이다. 인식의 개선과 총체적인 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표: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