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근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도봉갑)』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확인한 바에 따르면(21일 04시 현재), 보건당국이 에볼라 출혈열 발생국가에서 머물다 입국한 내․외국인 284명의 건강상태를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재근 의원』은 이 중 외국인 99명의 위치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의심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8일 질병관리본부가 집계한 내․외국인은 18명에서 15배가량 늘어났다.)
2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에볼라 출혈열이 발생한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4개국에서 출발했거나 이들 나라를 경유해 입국한 뒤 바이러스 잠복기간(21일) 동안 추적조사를 받은 내․외국인은 322명에 이른다. 추적조사한 322명 가운데 38명은 잠복기가 끝나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모니터링 받고 있는 284명을 국가별로 보면, 기니 21명, 라이베리아 12명, 시에라리온 25명, 나이지리아 226명 등이다. 또한 모니터링을 받고 있는 내국인은 185명, 외국인은 9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3월 기니에서 에볼라 출혈열이 발생한 뒤 4월 13일부터 추적조사를 실시했고, 이후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에 이어 지난 8일 나이지리아까지 조사대상국에 추가했다.
하지만 정부와 보건당국의 감염국 입국자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초동대응이 너무 안일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나이지리아의 최초 에볼라 감염 사망자 발생일이 7월 25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2주 뒤인 8월 8일까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바 있다. 실제로 지난 8월 6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현안상임위에서 다수의 여야의원이 나이지리아 입국자에 대한 추적조사 강화를 주문했었다.
『인재근 의원』은 “지난 20일 언론을 통해 보도된 라이베리아 출신 D씨의 행방불명으로 인해 국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면서 “그동안 정부는 철저한 검역에 자신감을 나타냈지만 외국인의 경우 주소지가 분명한 내국인과 달리 신속하고 정확한 추적관리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검역소를 벗어난 이후 발열 여부에 대해서는 유선으로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언어문제 등 의사소통에도 한계가 있다”며 “대상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과 통역 문제 해결 등 외국인 모니터링에 대한 별도의 대책을 마련하고 관계기관 간 더욱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더 이상의 ‘추적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총력을 다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