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묻지마 범죄로 국민 불안 높아져, 지난해 묻지마 범죄 54건 발생. 경제력 없는 20, 30대 비중 높아
보도일
2014. 8. 22.
구분
국회의원
기관명
홍일표 국회의원
홍일표 의원, “피해자 지원 매우 부족, 정부 관심과 지원 늘려야”
지난 3월 행동수칙까지 만들어 잔혹하고 계획적으로 ‘묻지마 살인’을 저지른 공익근무요원 사건은 국민들에게 큰 충격과 불안감을 안겼다.
또 지난달 27일 발생한 ‘울산 살인사건’의 경우도 전형적인 ‘묻지마 범죄’로서 20대 남성이 만취상태에서 무고한 10대 소녀를 길거리에서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사건이었다.
법제사법위원회 홍일표 의원(새누리 인천 남구 갑)이 대검찰청에서 제출받은 ‘묻지마 범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모두 54건의 묻지마 범죄가 발생했다(2012년 55건).
범죄 피의자 연령대별 비율로 살펴보면, 10대 4%, 20대 22%, 30대 29%, 40대 28%, 50대 13%, 60대는 4%로 20-30대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 이들 중 35명(65%)은 직업이 없는 무직이며, 7명(13%)은 일용직에 근무하는 등 경제능력이 부족한 자들로 조사됐다.
홍 의원에 따르면, 특히 지난해 피해자 중 겨우 30%만이 정부로부터 범죄피해자 지원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형사 범죄 피해자 구조금 1년 예산은 77억에 불과하다. (치료비 예산 1년에 11억, 긴급 생계비 예산 1년에 7억여원) 한 해 평균 전체 발생하는 강력범죄가 약 30만건에 달하는 상황에서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마저도 피해자가 사망 또는 장애가 있거나, 2달 이상 중상해를 입었을 경우 등에만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피해자 신청이 없을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고 있어, 이런 정보를 피해자가 알지 못할 경우 구조금을 받기 어렵다.
한편 이와 관련 지난 7월 수사나 재판과정에서 보호지원 제도 등 절차상 권리를 피해자에게 의무적으로 고지하는 법안이 법제사법위원회 1소위를 통과한 바 있다.
홍일표 의원은 “2012년에는 전체 피해자들 중 47%가 정부 지원을 받았지만, 2013년에는 겨우 30%만이 정부 지원을 받았다”면서, “이는 묻지마 범죄 피해자들이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범죄피의자 80% 안팎이 경제력이 부족한 젊은층이기 때문에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손해배상을 받아내기가 사실상 어렵다”면서, “피해를 입은 분들이 조속히 회복하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치료비, 정신상담 및 생활안정자금 등을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공익근무요원 묻지마 살인사건에 대해 법원은 "무고한 시민 누구라도 이유 없이 피해자가 되어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다는 극도의 불안감을 안겨주었다는 점에서 중대한 반사회적 범죄로서 엄벌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면서 무기징역을 선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