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1억2천만원 보수챙긴 뒤 ‘먹튀’

    • 보도일
      2014. 8. 27.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강동원 국회의원
- 前정창수 사장, 고액연봉 챙기고 지방선거 출마차 임기개시 9개월만에 중도사퇴 ○ 정창수 前사장 고액보수 챙긴 뒤 새누리당 강원도지사 후보출마위해 사퇴 ○ 임기중인 2013년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 전년에 비해 10.2%(약 525억) 감소 ○ 억대이상의 보수를 챙긴 뒤 집권당 도지사 후보경선 참여는 전형적인 먹튀! ○ 공공기관의 논공행상 낙하산 인사의 각종 선거출마 위한 중도사퇴는 얌체행위 ○ 기획재정부, 공공기관들의 경영평가 성과금은 경영실적치를 엄격히 반영해야... 국토교통부 소속 공공기관인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전임 사장이 거액의 연봉을 챙긴 뒤 곧바로 올초 임기개시 불과 9개월에 중도사퇴한 것을 두고 뒤늦게 먹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른바 ‘관피아’ 출신인 정창수 前사장은 올 3월, 느닺없이 6.4 지방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새누리당 강원도지사 후보경선에 참여하고자 사장직에서 중도사퇴했으나 짧은 재임기간 중 기본급과 성과금 등 거액의 연봉을 챙긴 것으로 드러나 이는 전형적인 먹튀 행위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 먹 튀 : 거액의 돈을 벌어들이고 그만큼의 구실은 하지 않은 채 수익만을 챙겨서 떠나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말 2013년에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에게는 기본급(기본연봉) 1억 2,076만원에 경영평가성과금 1억 8,779만원 무려 총 3억 855만원이 지급되었고 여기에다가 업무추진비도 1년간 1,500만원도 별도로 지급되었다. 특히 정창수 전 사장의 경우, 재임하던 2013.6∼2014.3월 재임시절에 지급된 보수내역은 2013년 기본연봉 69,775,333원에 2014년 기본연봉 20,776,770원, 경영평가성과급 33,668,320원 등 총 총 1억 2,422만 720원을 지급했다. 하지만 정창수 전 사장의 거액의 억대연봉과 성과금을 챙긴 후 9개월만에 중도사퇴해 버린 행위는 먹튀 비판을 듣기에 충분하다. 지난 3월 사장 공석이후 현재 6개월동안 사장이 공석상태이다. 이같은 사실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남원·순창)이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최근년도 경영공시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고 27일(수) 밝혔다. 특히 2012년도에는 당기순이익(연결재무재표) 규모가 2011년 3,390억 7.500만원에 비해 55.0%가 증가한 5,256억 9,400만원에 달했다. 하지만 2013년 6월부터 사장으로 재임했던 정창수 전 사장의 재임시절에는 당기순이익 규모가 오히려 2012년에 비해 무려 10.2%가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정창수 前사장이 재임하던 2013년도 공사의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10.2%, 무려 525억 7,100만원이나 감소한 4,721억 2,300만원을 기록했다. 또한 연결재무재표상의 총포괄손익기준으로도 2013년에는 전년대비 9.9%, 약519억원이 감소한 4,747억원 기록했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강의원은 결국 정창수 前사장은 새누리당 강원도지사 후보경선에 필요한 자금 등에 충당하기 위해 경영성과 성과금 등 거액의 연봉을 챙긴 뒤 나몰라라 식으로 주요 공기업 사장자리를 그만둔 것은 고위공무원 출신의 관피아 출신이 공기업경영을 망치는 행위였다고 비판했다. 한편 정창수 前사장은 금년 3월 3일,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임기개시 불과 9개월만에 지방선거에 출마코자 중도사퇴했지만 새누리당 강원도지사 후보경선에 참여했으나 탈락했다. 前정창수 사장은 전임 이명박 정권시절에 국토해양부 기획조정실장, 제1차관 등 요직을 역임한 관피아 출신이다. 이와 관련해 강동원 의원은 “국토교통부 고위공직자 출신이 산하 공기업의 사장을 맡은 이후 경영혁신을 하기보다는 집권여당의 지방선거 후보자가 되고자 임기개시 9개월만에 거액의 연봉 등을 챙기고 무책임하게 사퇴해버린 것은 먹튀이자 얌퇴행위이다. 공기업에서 이같은 어처구니 없는 행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앞으로는 전문성, 도덕성 검증 등 엄격한 잣대로 기관장을 선임하는 한편, 정부는 공공기관 기관장의 경영평가 성과금 제도역시 전반적으로 개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