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고속도로>, 2016년 실적 현금배당 1,300억 원, 2015년 현금+중간배당 2,200억 원 - 2년간 국고보조금 1,913억 원 받아... 요금은 재정도로보다 2.2배 비싸 - 매출은 쑥쑥 늘어나고 비용은 계속 줄어... 배당잔치 계속될 가능성 높아 - 이원욱, “세금과 국민 부담으로 수천 억대 배당금은 도가 지나치다”
민자고속도로인 <인천공항고속도로>를 운영하는 <㈜신공항하이웨이>가 2년 동안 무려 3,500억 원의 배당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재정고속도로 대비 2.2배의 통행료를 받고 국고보조금(MRG 등)도 2년간 1,913억 원이나 받은 것으로 알려져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원욱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화성을)이 1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2년간 주주들에게 현금배당 2,300억 원과 중간배당 1,200억 원을 지급했다. 이는 회사의 2016년말 기준 전체 자산(9,184억 원)의 38.1%에 해당하며, 전체 자본금(760억 원)의 4.6배에 달하는 액수다.
또한, 이 회사가 올해 3월 지급한 현금배당의 1주당 배당금은 8,548원으로(전체 1,300억 원 규모), 현대자동차의 올해 주당 현금배당금(보통주 4,000원/우선주 4,100원)의 2배를 넘는다.
□ 막대한 배당잔치의 근원은 세금과 국민의 비싼 통행료
이 회사가 이렇게 수천 억대의 ‘배당잔치’를 벌일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막대한 수익을 거뒀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2016년 971억 원, 2015년 982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2016년말 기준으로 전체 이익 잉여금이 4,591억 원에 달한다.
문제는 이러한 수익의 근원이 세금과 국민의 비싼 통행료라는 것이다. <인천공항고속도로>는 2016년 정부로부터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등의 명목으로 881억 원을 보조금으로 받았다. 동년 당기순이익인 971억 원의 90.7%에 해당한다. 2015년에도 1,032억 원을 받았는데 이는 당기순이익을 훌쩍 넘는 액수다. 가히 ‘최소운영수입보장’이 아니라 ‘최소순이익보장’이라 할 정도다.
이뿐 아니다. <인천공항고속도로>의 통행료는 6,600원으로 재정구간으로 환산했을 때의 통행료인 2,900원보다 2.3배나 비싸다(그나마 2015년에 1,000원 인하된 것). 이렇게 2년간 벌어들인 통행료 수입만 2,957억 원이다.
□ 앞으로도 막대한 수익과 배당잔치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이 의원은 향후 이 회사의 막대한 당기순이익과 배당은 계속될 것이라 예측했다. SOC 사업은 초기에 투자비와 이자비용이 크고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회사의 매출액은 2001년 1,062억 원으로 시작해서 작년에 2,410억까지 늘었는데, 반면 이자비용을 포함한 영업외비용은 2001년 885억 원에서 작년 357억 원으로 줄었고, 이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2001년 –339억 원에서 올해 971억 원까지 늘었다.
※ 그림자료 : 첨부파일 참조
이 의원은 “민간회사가 이익을 내어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국민들에게 2배 이상 비싼 통행료를 받고 정부로부터 MRG까지 받는 민자회사가 수천 억대의 배당까지 한다고 하면 국민들 중 누가 이해하겠는가.”라고 말하고,
“민자회사는 일반 주식회사와 달리 지분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모두 배당을 가져가는 것으로 일반 국민들이 배당으로 인해 혜택을 보는 것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참고로 ㈜신공항하이웨이의 지분 구조는 교직원공제회 45.07%, MKIF(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24.10%, 교보생명 15.00%, 삼성생명 8.85%, 한화생명 3.50%, 우리은행 2.10%, 삼성화재 1.38% 이다.
첨부파일
20171012-2배 비싼 통행료와 1,900억 정부보조금 받고 3,500억 배당잔치 벌인 민자고속도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