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대구시 건축물 내진설계율 29.7%에 머물러

    • 보도일
      2017. 10. 23.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장제원 국회의원
서구 13.2%로 가장 낮아

  대구광역시 내진대상 건축물 8만3,650동 가운데 29.7%인 2만4,840동에만 내진설계가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장제원 의원(부산 사상구)은 23일 대구광역시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건축물 용도별로 내진적용 현황을 보면 주택은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 5만2,945동 가운데 1만7,840동(33.7%)에 내진설계가 적용됐다. 이 가운데 단독주택(3만8,814동)은 30.5%(1만1,857동)에만 내진설계가 이뤄진 반면 공동주택(1만4,131동)은 42.3%(5,983동)의 내진율을 기록했다.
  
  비주거용은 내진대상 건축물 3만705동 가운데 22.8%인 7,000동이 내진설계를 갖췄다. 이 가운데 학교는 1,307동 중 428동(32.7%)이 내진설계를 갖췄으며, 공공업무시설은 573동 중 134동(23.4%)에 내진설계가 적용됐다.

  도로시설물의 경우 내진대상 교량은 199개 중 147개(73.9%), 터널은 22개 중 19개(86.4%)가 내진설계를 갖춰 일반 건축물에 비해 내진율이 훨씬 높았다.

  체육시설물의 경우 40곳 중 14곳에만 내진설계가 적용돼 35%의 내진율을 기록했다.

  2016년 6월 현재 대구시 8개 구․군별 내진설계 확보 현황을 보면 내진율은 28.6%로, 서구가 내진대상 건축물 1만235동 가운데 1,350동에 내진설계가 적용돼 13.2%로 가장 낮았다. 내진대상 건축물 6,011동 가운데 3,042동(50.6%)에 내진설계가 적용된 달성군의 내진율이 가장 높았다.

  장 의원은 지난해 경주지진을 비롯해 부쩍 잦아진 지진횟수 등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면서 내진대상 건축물에 대한 세밀한 점검을 통해 내진보강 등 안전조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