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이 차단되었습니다. 팝업을 보시려면 브라우저 설정에서 팝업을 허용하고 다시 시도해 주세요.
닫기
대한민국 국회
국회도서관
로그인
사이트맵
English
검색
기본검색
검색
키워드
검색
국회도서관
의회정보
법률정보
발간자료
의회지원서비스
안내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싱크탱크 보고서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법률정보
외국법률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세계법률가이드
국내법률
국가법령정보
입법예고
판례
의안·회의록
국회의안정보
국회회의록
최신동향
법률뉴스
신착법률도서
발간자료
팩트북
최신정책정보
Data&Law
Data+
최신외국입법정보
최신외국정책정보
World&Law
의회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조사
소개
AI-DATA
입법과 통계
지능형 법률검색
WEB-DB
법령DB
의회DB
신문DB
학술DB
동영상 강의
안내
소개
법률정보사이트
최신 소식
메일링 신청
법률정보센터 이용 안내
Open API
검색어 입력
상세검색
법률주제검색
상임위별 검색
대한민국 국회
국회도서관
로그인
사이트맵
English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싱크탱크 보고서
법률정보
외국법률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세계법률가이드
국내법률
국가법령정보
입법예고
판례
의안·회의록
국회의안정보
국회회의록
최신동향
법률뉴스
신착법률도서
발간자료
팩트북
Data+
최신외국정책정보
최신정책정보
최신외국입법정보
World&Law
Data&Law
의회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조사
소개
AI-DATA
입법과 통계
지능형 법률 검색
WEB-DB
법령DB
의회DB
신문DB
학술DB
동영상 강의
안내
소개
최신소식
법률정보센터 이용 안내
법률정보사이트
메일링 신청
Open API
검색어 입력
검색
상세검색
법률주제검색
상임위별 검색
상세검색
전체
국회의원 정책자료
싱크탱크보고서
외국정책사례
국회·국회의원보도자료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입법예고
국회회의록
팩트북
최신외국입법정보
Data&Law
법률뉴스
법률쟁점DB
외국입법례
법률문헌_소장
법률문헌_외부
THE 현안
현안 외국에선?
국외현안리포트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연도
상임위원회
전체
국회운영
법제사법
정무
기획재정
교육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외교통일
국방
행정안전
문화체육관광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보건복지
환경노동
국토교통
정보
여성가족
검색
초기화
법률주제검색
대주제
검색
중주제
검색
소주제
검색
상임위별 검색
국회운영
법제사법
정무
기획재정
교육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외교통일
국방
행정안전
문화체육관광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보건복지
환경노동
국토교통
정보
여성가족
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싱크탱크 보고서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한수원 사고까지 은폐하며 공론화 결정과정 개입
보도일
2017. 10. 24.
구분
국회의원
기관명
김종훈 국회의원
1. 현황
1) 월성3호기 냉각재 누설관련 일시별 상황현황을 포함한 시간대별 조치사항
※ 그림자료 : 첨부파일 참조
2) 한울 5호기 원자로 수동정지 보고
개요
◦ '16.12.19.(월) 21:10분경 원자로 수위계측기(HJTC*) 밀봉부에서 원자로냉각수의 소량 누설(약 0.055gpm)을 확인, 누설부위 정비를 위해 원자로 수동정지
* Heated Junction Thermo Couple : 원자로 수위 감소시 높이별 온도차를 이용하여 수위를 계측
※「원자력이용시설의 사고·고장 발생시 보고·공개 규정(원안위 고시)」에 의한 보고대상
경위
◦ 12.19(월) 21:10 원자로 Head 상부 증기누설 현장 확인
22:55 원자로 수위계측기(HJTC) B Vent Plug 밀봉부 누설 확인
◦ 12.20(화) 00:00 원자로 출력감발 착수
07:00 계통분리
08:00 원자로 수동정지
누설원인 및 환경영향
◦ 원자로 수위계측기(HJTC) Vent Plug 밀봉부 손상*으로 누설 발생 추정
* Vent Plug 밀봉은 Steel Ball이 Seat에 안착되어 밀봉하는 구조로, Steel Ball 또는 Seat 손상으로 추정
◦ 격납건물 내부 방사선량 및 환경방사선 감시기(ERMS) 정상범위 유지
향후 조치계획
◦ 원자력안전기술원 현장조사단 파견(12.20)
◦ 현장조사결과를 통한 원인분석 및 정비보수 후 재가동 추진예정
< 한울 5호기 주요 이력 >
▸ 가압경수로형 원전(1,000MWe), 운영허가(’03.10.20.),
▸ 최근 정지사례 : 제어봉집합체 다중위치편차에 의한 원자로자동정지(‘14.01.29.)
▸ 최근 정기검사 : 제9차 (`16.5.9. ~ 7.22.)
2. 질의 및 발언
○ 공론화위원회 결정과정이 중립적이었다고 생각하나?
○ 정부의 중립방침에도 불구하고 한수원은 이번 공론화위원회 결정과정에 깊숙이 개입해 왔다. 직원들을 동원해서 건설재개 측의 활동을 했다. 최종 연설에 한수원 사장까지 나설 것을 검토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 한수원이 이렇게 공론화위원회 결정과정에 적극 나선 것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 앞으로도 한수원과 정부정책이 다르면 정부정책을 따르지 않고 한수원의 입장만 고수할 것인가?
○ 공론화 일정 중인 지난 11일 월성 3호기에서 냉각수 누설이 있었는데, 수동으로 정지하기까지 7일이 소요되었다 맞나? 최종적으로 공론화위원회 투표를 마감한 된 후에 냉각수 월성 3호기를 정지했다. 맞는가?
○ 냉각수 한울 5호기의 경우 냉각수 누설 확인후 수동정지까지 2일 걸린 것에 비하면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부에서는 공론화위원회 투표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서 늑장대응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
○ 이런 식의 대응이 한수원이 국민들의 신뢰를 잃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 오늘 정부의 공론화위원회 결정에 대한 후속조치가 있을 예정이다. 신고리 5,6호기 재개뿐 아니라 월성 1호기 조기폐쇄, 탈핵정책 등 정부와 한수원의 이해가 다를 때마다 한수원은 다른 입장에서 활동을 할 것인가?
첨부파일
20171024-한수원 사고까지 은폐하며 공론화 결정과정 개입.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