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 청구액 상위 100대 기업, 국내 제약사 68개 vs 다국적 제약사 32개 - 의약품 청구액 상위 100개 품목은 다국적 제약사가 58개로 역전 - 의약품 청구액 상위 100대 품목 중 순수 국내의약품은 고작 23%에 불과 - 고부가가치 주요 의약품 시장 다국적 제약사에게 잠식당해 - 오제세 의원 “제약산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미래사회의 중요한 산업분야”, “혁신형 제약기업 지원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국내 제약산업을 육성해야”
정부의 제약산업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고부가가치 주요 의약품 시장이 다국적 제약사에게 잠식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오제세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충북 청주시 서원구)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 청구액 상위 100대 제약사 중 국내 제약사와 다국적 제약사의 수는 각각 68개와 32개였고, 청구액은 국내 제약사가 8조 3,286억원으로 62%, 다국적 제약사 5조 802억원으로 38%를 차지했다.
하지만, 청구액 상위 100개 품목의 사정은 달랐다. 상위 100개 품목 중 국내 제약사 제품은 42개에 그친 반면, 다국적 제약사 제품이 58개에 달했다. 청구액 비중은 더 큰 격차를 보였다. 다국적 제약사의 청구액은 2조 1,350억원으로 65%를 차지했고, 국내 제약사는 1조 1,685억원으로 35%에 불과했다.
의약품 청구액 상위 100개 품목을 원개발 기준으로 분석할 경우 상황은 더 심각하다. 상위 100개 품목 중 순수 국내의약품은 27개에 그쳤고, 청구액은 7,579억원으로 23%밖에 되지 않았다.
오제세 의원은 “표면적으로는 국내 제약사가 다국적 제약사 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 주요 의약품 시장은 다국적 제약사에게 잠식당한 상황이다”라고 지적한 뒤, “미래 먹거리 산업인 제약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토종 제약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오의원은 “효과적인 국내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 겉돌고 있는 ‘혁신형 기업 지원제도’를 제약기업 맞춤형 지원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는 한편, “오송과 대구에 있는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