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이 차단되었습니다. 팝업을 보시려면 브라우저 설정에서 팝업을 허용하고 다시 시도해 주세요.
닫기
대한민국 국회
국회도서관
로그인
사이트맵
English
검색
기본검색
검색
키워드
검색
국회도서관
의회정보
법률정보
발간자료
의회지원서비스
안내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싱크탱크 보고서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법률정보
외국법률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세계법률가이드
국내법률
국가법령정보
입법예고
판례
의안·회의록
국회의안정보
국회회의록
최신동향
법률뉴스
신착법률도서
발간자료
팩트북
최신정책정보
Data&Law
Data+
최신외국입법정보
최신외국정책정보
World&Law
의회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조사
소개
AI-DATA
입법과 통계
지능형 법률검색
WEB-DB
법령DB
의회DB
신문DB
학술DB
동영상 강의
안내
소개
법률정보사이트
최신 소식
메일링 신청
법률정보센터 이용 안내
Open API
검색어 입력
상세검색
법률주제검색
상임위별 검색
대한민국 국회
국회도서관
로그인
사이트맵
English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싱크탱크 보고서
법률정보
외국법률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세계법률가이드
국내법률
국가법령정보
입법예고
판례
의안·회의록
국회의안정보
국회회의록
최신동향
법률뉴스
신착법률도서
발간자료
팩트북
Data+
최신외국정책정보
최신정책정보
최신외국입법정보
World&Law
Data&Law
의회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조사
소개
AI-DATA
입법과 통계
지능형 법률 검색
WEB-DB
법령DB
의회DB
신문DB
학술DB
동영상 강의
안내
소개
최신소식
법률정보센터 이용 안내
법률정보사이트
메일링 신청
Open API
검색어 입력
검색
상세검색
법률주제검색
상임위별 검색
상세검색
전체
국회의원 정책자료
싱크탱크보고서
외국정책사례
국회·국회의원보도자료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입법예고
국회회의록
팩트북
최신외국입법정보
Data&Law
법률뉴스
법률쟁점DB
외국입법례
법률문헌_소장
법률문헌_외부
THE 현안
현안 외국에선?
국외현안리포트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연도
상임위원회
전체
국회운영
법제사법
정무
기획재정
교육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외교통일
국방
행정안전
문화체육관광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보건복지
환경노동
국토교통
정보
여성가족
검색
초기화
법률주제검색
대주제
검색
중주제
검색
소주제
검색
상임위별 검색
국회운영
법제사법
정무
기획재정
교육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외교통일
국방
행정안전
문화체육관광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보건복지
환경노동
국토교통
정보
여성가족
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싱크탱크 보고서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최근 5년간 수산물 부적합 판정 1,267건
보도일
2017. 10. 17.
구분
국회의원
기관명
인재근 국회의원
- 발암의심물질인 말라카이트그린, 항생재, 메틸수은, 카드뮴, 납 기준초과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도봉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수산물 검사 현황’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2013~2017.6)간 수산물 검사결과 생산단계에서 982건, 유통단계에서 285건, 총 1,267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유해물질이 함유된 수산물이 생산 및 유통되고 있는 것이다.
생산단계에서 부적합 현황을 년도별로 살펴보면, 2013년 284건, 2014년 235건, 2015년 205건, 2016년 141건, 올 6월까지 117건이었다. 품명별로는 진주담치에서 마비성패독이 498건 검출되어 가장 많았고, 활넙치 140건 > 넙치 53건 > 메기 32건 > 뱀장어 30건 > 청상아리 14건> 가물치 11건 등의 순이었다.
부적합 내용별로 보면, 마비성패독이 500건으로 가장 많았고, 항생재(Antibiotics) 108건 > 총수은 37건 > 세균수 36건 > 말라카이트그린 35건 > 메틸수은 33건 > 아목시실린 27건 > 안티바이오틱스 20건 > 카드뮴 18건 > 옥소린산 16건 > 비소 11건 등의 순이었다. 조치사항을 보면, 채취금지 499건 > 출하연기 269건 > 수출위생증명서 미발급 113건 > 폐기 89건 이었다.
유통단계에서 부적합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97건, 2014년 49건, 2015년 50건, 2016년 32건, 올 6월까지 57건 이었다. 이중 국내산이 155건으로 가장 많았고, 수입산 113건 > 생산자 불명 5건 > 수입자 불명, 시설명실, 품목제조 미 보고가 각각 3건 이었다. 품명별로는 쭈꾸미와 냉동낙지(절단 포함)가 26건으로 가장 많았고, 냉동홍다리얼룩새우 24건 > 미꾸라지 23건 > 메기 22건 > 냉동주꾸미 16건 > 냉동절단낙지 14건 등의 순이었다.
부적합 사유를 보면, 내용량이 107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물 25건 > 말라카이트그린 24건 > 엔로/시플로플록사신 16건 > 카드뮴 10건 > 대장균 9건 > 이산화황, 노르플록사신 7건 등의 순이였다. 조치사항을 보면, 폐기 113건 > 시정명령 94건 > 영업정지 53건 > 행정지도 13건 > 고발 조치, 12건 이었다.
인재근 의원은 “말라카이트그린과 기준 이상의 중금속 등이 포함된 부적합 수산물이 생산 유통되는 등 수산물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지적하며, “수산물 먹거리의 안전을 위해 신속하게 위해정보를 입수하여 효과적으로 제재할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참고자료 :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20171017-최근 5년간 수산물 부적합 판정 1,267건.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