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을 통한 밀입국시도가 4년새 3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등이 지난해 바다를 통해 밀입국을 시도하다 검거된 사건이 14차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서울 강서을)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역별 밀입국 검거실적’ 자료에 따르면, 해상 밀입국시도는 지난 2013년 5건에서 2015년 10건으로 그리고 2016년에는 14건으로 증가했다. 올해의 경우에도 8월까지 이미 12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사건으로 해경이 해체됐던 지난 2014년에는 해상 밀입국 검거 건수가 1건에 불과했다.
해역별로는 지난 2013년부터 최근까지 발생한 42건의 밀입국시도 중 동해안과 서해안에서 각각 2건의 밀입국시도를 제외하고 90.5%에 해당하는 38건이 남해안에서 발생해 밀입국루트가 주로 남해안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 대비 밀입국자 수로는 지난 2013년 건당 8.4명에서 2015년 4.3명, 2016년 2.1명으로 줄고 있어, 밀입국자들이 감시망을 피해 소규모 단위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김 의원은 “해상 밀입국자 검거 건수가 늘고 있기는 하지만, 해상 밀입국시도가 소규모화하면서 은밀하고 조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촘촘한 그물망을 사용해 밀입국 감시에 보다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