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광주갑)이 전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내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지역 중 95%는 비상소화장치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에 따르면 전남에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지역은 총 51개소로 진입불가 지역 22개소, 진입곤란 지역 29개소이다. 그러나 해당 지역 중 95%는 이에 따른 대비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화재발생 시 대형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 진입불가 지역은 무안이 11개소로 가장 많았고, 여수 4개소, 영광 3개소, 고흥·보성·함평·장흥 각각 1개소이다. 비상소화장치가 없는 곳은 무안이 11개소였고, 여수·영광이 각각 3개소, 고흥·보성·함평·장흥이 각각 1개소였다. 해당 지역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상소화장치도 없기 때문에 화재진압이 불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진입곤란 지역도 문제는 매한가지다. 광양이 7개소로 진입곤란 지역이 가장 많았으며, 무안 5개소, 목포 4개소, 여수 3개소, 영광·화순 2개소, 곡성·장성·고흥·보성·완도·장흥이 각각 1개소였다. 이중에서 비상소화장치가 없는 곳은 광양과 무안이 각각 5개소, 여수 3개소, 목포·영광·화순이 각각 2개소, 고흥·보성·완도가 각각 1개소였다.
올해 1월 소방청은 비상소화장치의 설치 및 관리 기준(안)을 각 시도의 재난본부에 시달했으나 이에 따른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지난 5년여 간(2012~2107. 8.) 전남에서 화재사고로 142명이 목숨을 잃었고, 565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재산피해는 1,000억 원을 상회했다.
소병훈 의원은 “화재는 인재이며, 지역소방당국의 의지에 따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재난이다. 시간이 충분했음에도 조치를 취하지 않아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지 못했다면 그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소 의원은 “비상소화장치 설치와 더불어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하거나 곤란한 환경 자체를 개선해야 한다. 도로 확포장이나 불법 주정차 단속 등을 통해 구조적인 문제해결도 병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