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년간 철도건설현장 총 74건 발생, 39명 사망 45명 부상 · 사고종별 안전사고(추락·붕괴 낙하·협락 등) 66.2%로 가장 많이 발생
최근 5년간 철도건설 현장에서의 사고로 총 84명의 현장근로자들이 사망하거나 다치는 등 여전히 안전불감증이 만연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국회 국토교통위 김현아 의원(자유한국당)이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철도건설현장 사고발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 9월까지 최근 5년간 철도건설현장 사고가 총 74건이 발생해 39명이 사망하고 45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연도별 사고 건수는 △2013년 16건 △2014년 20건 △2015년 16건 △2016년 14건 △2017년(9월 기준) 8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한 사상자는 △2013년 14명 △2014년 17명 △2015년 13명 △2016년 27명 △2017년(9월 기준) 13명으로 나타났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사고종별로는 안전사고(추락, 붕괴 낙하, 전도, 협착, 감전 등) 49건, 운행장애(차량탈선, 파손, 신호장애 등) 13건, 철도사고(철도화재, 건널목사고 등) 11건, 건설사고(공사현장 붕괴, 유실, 화재) 1건으로 안전사고가 전체사고의 66.2%를 차지했다.
이에 김 의원은 “철도건설현장 사고발생 중 추락, 붕괴 낙하, 전도, 협착, 감전 등의 안전사고는 안전미숙과 부주의에 의한 사고로 인해 많이 발생한다.”며 “공단은 유형별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시기와 원인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맞춤형 교육과 관리감독을 강화해 사고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