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국정원 댓글사건 관련 의혹으로 수사를 받던 서울고검 변창훈 검사가 자살하는 안타까운 일이 일어났다. 지난 8월 21일 김인식 KAI 부사장, 일주일 전 국정원 직원 정 모씨에 이어 변창훈 검사까지 문재인 정부 6개월 동안 검찰 수사로만 3명이 비극적인 선택을 했다.
죄가 있다면 수사를 하고 처벌을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3명이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하는 검찰 수사는 분명 문제가 있다.
특히 서울중앙지검은 변창훈 검사를 수사하면서 아이들 앞에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한참 후배검사를 통해 15시간이나 조사하고, 소환시간 등을 언론에 공개하면서 압수수색부터 조사까지 일일이 보도되도록 하는 등 지나친 속도전과 비정상적인 언론전을 펼치며 피의자에게 수치심을 주고 압박했다.
유능하고 신망이 두터웠으며, 국가를 위해 헌신해 온 검사는 ‘억울하고 원통하다’는 심경만 남긴 채 안타까운 선택으로 생을 마감했고,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은 조문조차 포기했다. 유가족은 “윤석열 밑에서 잘 해먹어라”, “검사들 조문은 더 이상 받지 않겠다”며 오열했다고 한다. 조문을 온 박상기 법무부 장관에게는 “무슨 적폐 청산이냐”며 강하게 항의했다.
서울중앙지검 검사 247여명의 약 4분의 1가량인 60여 명이 과거사 또는 적폐 청산 수사에 투입되어 있다. 검찰 최대 조직으로 검찰의 중심인 서울중앙지검이 자체 인력도 모자라 파견까지 받아가며 적폐수사에 매달리는 상황은 비정상이다. 이러한 검찰의 수사는 정권의 하명에 따라 정치 보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 분명해 지고 있다.
수사 중 2명이나 스스로 목숨을 끊었지만 검찰수뇌부 중 책임지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문무일 검찰총장과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은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검찰을 정치 보복의 칼로 만든 것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