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감소, 피해금액은 증가 ⇨2013년 633건 20.8억원 → 2017년8월 460건 47억원 ‣ 피해자연령 노년층보다 오히려 청․장년층 비율이 훨씬 높음 ⇨ 청․장년층이 고용불안 등으로 생활비등 급전 필요상황에 몰려 대출빙자형 사기에 노출 ‣ 범죄수법 진화에 따른 예방홍보활동 강화 및 적극적 수사를 통한 보이스피싱 근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명수 의원(자유한국당, 충남 아산갑)이 2017년 10월 23일(월) 전북지방경찰청 국정감사에서 보이스피싱 범죄예방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명수 의원은 “최근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줄고 있으나, 오히려 피해금액은 증가하고 있다”고 하면서, “2013년에는 633건 20.8억원이었으나 2017년 8월 기준으로 460건 47억원의 피해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명수 의원은 “피해자 연령으로 보면 노년층보다 오히려 청․장년층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고 하면서, “노년층의 경우 보이스피싱에 대한 적극적 홍보로 인해 대처능력이 강화되었으나, 오히려 청․장년층의 경우 고용불안 등으로 인한 생활비 등 급전 필요상황에 몰려 대출빙자형 사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명수 의원은 “범죄수법 진화에 따른 예방홍보활동 강화 및 적극적 수사를 통한 보이스피싱범죄를 근절해야 한다”면서, “금융기관과 업무협약된 고액인출자 및 피해의심거래 신고체계를 적극 활용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보이스피싱예방도 여성, 청년, 고령층 등 특성에 따른 수요자 중심 맞춤형 홍보가 실시되어야 한다”며 맞춤형 대책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