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의원은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세월호 투입 야간조명탄 현황(4.16~5.26)’을 분석한 결과, 총 10,837발(예산 168억)을 사용하여 불발탄은 715발(예산 11억)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 불발탄 70%(533발)가 사고초기(4.16~4.26)에 집중투입 되었다고 밝힘
○ 또한,‘야간조명탄 생산년도별 사용량 및 불발률’은 1986년 2/15발(13.3%), 1987년 0/30발(0%), 1989년 3/16발(18%), 1990년 342/4431발(7.7%), 1991년 111/1317발(8.4%), 1992년 184/1483발(12.8%), 1993년 1/20발(5%), 1994년 0/230발(0%), 2000년 46/2154발(2.1%), 2001년 4/713발(0.6%), 2003년 0/87발(0%), 2009년 22/386발(5.7%) 등으로 나타났고, 특히 1986년부터 1994년에 생산된 조명탄의 불발탄이 643발로 총 불발탄 715발 중 무려 90% 달했음
○ 불발탄으로 낭비된 국방부 예산 11억원은 세월호 사고수습을 위해 투입되는 웬만한 부처(경찰청 9.7억, 법무부 6.7억, 방위사업청 6.5억, 소방방재청 5.2억 등) 예산보다 많았음
○ 조명탄 불발탄 수색 및 탄피류 회수활동을 위해 전남 진도, 완도, 해남, 고흥 일대 육상 및 도서지역에 군 장병 600명을 포함해서 민·관·군이 매일 총 1,400여명의 인원이 투입되고 있는 상황임
○ 이에 김광진 의원은“불발탄으로 인해 산불 등 2차 피해뿐만 아니라 11억이라는 예산과 매일 1,400여명의 인력이 낭비되었음. 특히, 사고초기 및 오래된 재품이 집중 사용된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히 해명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