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안철수 후보,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삽니다 '지역 미래 발전 프로젝트'

    • 보도일
      2017. 5. 2.
    • 구분
      정당
    • 기관명
      국민의당
지방이 가난하면서 부자인 나라는 없습니다.
안철수의 ‘지역 미래 발전 프로젝트’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는 2일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역격차 해소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역별 공약을 담은‘지역 미래 발전 프로젝트’를 내놨다. 대선 선거운동 전부터 전국 곳곳을 돌면서 직접 청취한 지역 발전 정책으로 지역별 맞춤형 성장전략이다.
  
안 후보는 “지역 미래 발전 프로젝트의 목표는 균형발전을 통한 지역격차해소임을 분명히 밝힌다”면서 “지방이 가난하면서 부자인 나라는 불가능하다. 국토의 균형발전이 대한민국 도약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의 지방발전 정책은 △지역특성에 맞는 선택과 집중 및 지속가능성 △지역의 사회·문화·산업인프라 활용 및 지원 △미래먹거리 발굴과 미래성장산업의 잠재력 배양 등 3가지 원칙에 근거에 만들어졌다.
  
안 후보의 지역발전 전략은 대권역별로 테마가 있는 발전 전략이다. 우선 충청권은 대전을 중심으로 집적돼 있는 과학기술 역량을 토대로 ‘4차산업혁명의 중심지’로 만든다. 강원도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하며, 호남은 ‘지역균형발전의 모델’로, 대구경북은 ‘스마트 물산업의 메카’로 발전시킨다.
  
부울경은 ‘낙동강 관련 사업’, 경기도는 ‘경기 남북부의 균형발전’, 인천은 ‘동아시아의 관문도시’, 마지막으로 서울은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서울’로 변모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지역의 의견을 수렴한 역점사업들도 포함됐다. 충청권의 대전의 경우 ‘4차산업 특별시’와 ‘KTX 서대전 구간 선로 개선사업’을 충남의 경우는 ‘중부권 동서내륙 횡단철도’와 ‘중부 종합산업 기지’ 추진, 충북은 ‘바이오밸리 완성’과 ‘중부고속도로 호법-남이구간 확장 사업’을 세종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과 ‘세종형 자치모델’ 등을 추진한다.
  
강원도는 무엇보다도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국가적 지원과 ‘환동해 경제융합허브 구축’과 ‘폐광지역 대체산업 육성’ 등을 공약했다.
  
호남권의 전북도는 ‘백년먹거리 첨단농식품산업’과 ‘글로벌 탄소밸리’ 조성, ‘새만금 SOC’구축 사업을 광주는 ‘미래자동산업’ 육성, ‘에너지신산업’ 및 ‘동아시아 슈퍼그리드’ 구축 사업, 전남도는 ‘해양에너지 복합발전플랜트’ 육성과 ‘차세대 국가우주항공산업’ 거점 육성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영남권의 대구는 ‘대구공항’ 이전, ‘스마트워터그리드를 통한 물산업 허브’ 육성, 경상북도는 ‘동해안 그린에너지클러스터 조성’ 및 민관 공동 원전 안전센터 설치와 ‘미래이동통신기반 스마트기기 융합밸리’를 조성한다.
  
부산은 ‘동북아 해양수도’와 해양 ‘ICT융합 선도도시’, ‘김해신공항’ 교통망 확충 및 배후도시 조성을 울산의 경우는 ‘글로벌 전지클러스터’와 ‘울산형 연구기반단지’ 조성을 경남은 ‘기계산업 클러스터’ 및 ‘로봇산업벨트’ 조성, ‘조선산업특구지정’을 통한 일자리 보호 등을 공약했다.
  
제주도는 ‘평화와 인권의 제주’, 중앙정부 권한이양 등 ‘제주특별자치도 완성’을 주요 공약으로 내놨다. 이외에도 ‘관광허브’ 구축, 미래농업 육성 등 제주도 맞춤형 발전 계획도 포함했다.
  
수도권의 경기도는 북부권에는 ‘남북교류협력의 활성화 전초기지’를 조성하고, 서남부권에는 ‘4차산업혁명’ 전초기지를 위한 개발을 추진한다. 수도권 광역교통망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광역급행버스 노선 확대와 복합환승센터를 확충한다.
  
인천은 ‘인천경제자유구역’ 활성화 지원과 ‘경인전철’ 단계별 지하화 사업을 서울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화 ‘용산공원’ 개발 전면 재조정과 ‘역사문화도시 서울 만들기’를 공약했다.
  
안 후보는 “지역별 발전 계획은 중앙정부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지역민들 스스로가 이를 이루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지역별 발전전략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중앙정부만이 할 수 있는 일과 지역간 조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 맞춤 발전 전략을 통해 지역별로 특색 있는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면서 “아울러 지역 발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숙원 사업들도 임기 내 최대한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