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출자·출연 기관, 기관장 등 요직에 낙하산 대거 투입
상근직 14개 기관 중 9개(64%) 기관, LH출신 공피아가 차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가 출자·출연한 기관의 기관장 등 요직을 공사 출신 낙하산 인사가 대거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전북 남원 순창)이 LH로부터 제출받은 출자·출연 기관 임원 현황에 따르면, 임직원이 상근하는 14개 출자·출연 기관 가운데 9개(64%) 기관의 기관장 및 임원이 LH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70억원을 출자해 LH가 지분 100%를 보유하는 주택관리공단(주)의 현 사장은 LH주거복지이사 출신이며, 1.7억원(지분 33.5%)을 출자한 알파돔시티자산관리(주) 사장 역시 LH 녹색도시이사 출신이다.
또한 105억원(지분 19.9%) 출자의 메타폴리스(주) 사장 역시 LH 주거복지본부장 출신이며, 0.7억원(지분 14.0%) 출자의 메가볼시티자산관리(주)의 사장도 LH 주거복지부문장 출신이다.
이밖에도 0.6억원(지분 19.9%)을 출자한 스마트시티자산관리(주)의 사장은 LH 대전충남지역 본부장 출신, 0.8억원(지분 16.7%)의 ㈜비채누리 사장은 LH 전북지역본부 본부장 출신 등 현직 기관장을 LH 출신 인사들이 차지하고 있다.
그런가하면 75억 출자(지분 63%)의 한누리(주)의 사장과 이사는 LH 소속 임원이 겸임을 하고 있고, 0.6억 출자(지분 19.9%) ㈜엠시에타의 사장은 LH 금융사업처에서 파견을 하고 있다. 80억원(지분 19.9%)의 충주기업도시(주) 이사도 LH 경기본부 출신이다.
정치권 인사도 있었다. LH가 36억원(지분 38.6%)을 출자한 ㈜한국건설관리공사의 사장은 새누리당 중앙당 부대변인 출신이다.
이처럼 모회사 고위인사들이 낙하신 인사행태로 자회사들의 경영진을 독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영성과를 내기 위한 혁신보다는 눈치보기에 급급할 수 있다.
강동원 의원은 “공공기관들이 출자·출연 기관들이 퇴직 공피아의 자리보전을 위한 기관으로 전락했다”며 “인사시스템을 개선해 재취업 제한기관으로 설정하는 등 낙하산 인사를 척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