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하태경, “다이빙 벨 상영, 대국민 ‘사기극’에 면죄부 주는 것”

    • 보도일
      2014. 9. 24.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하태경 국회의원
- BIFF 조직위 자율성 인정하나, 최소한의 공공성에 대한 분별력은 갖춰야 - 유가족조차 “우리를 두 번 죽이는 일”이라며 상영반대 촉구 - 부산국제영화제를 사랑하고 걱정하는 수많은 국민들 위해 상영결정 취소해야 □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이 수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다이빙 벨’ 상영문제를 놓고 갑론을박이 계속되고 있다. □ 결론적으로 이번에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다이빙 벨’을 상영하기로 결정한 것은 세월호 유가족들의 상처를 두 번 헤집는 일임과 동시에, 온 국민을 속여 넘긴 개별업자의 ‘사기극’에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가 면죄부를 주는 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런 영화를 초청작으로 결정한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측과 프로그래머는 응당 논란의 책임을 지고 국민과 유가족앞에 사과해야 할 것이다. □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의 자율성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는 주장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국민 세금이 60%이상 지원되는 영화제라면 최소한의 공공성에 대한 분별력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본다. 온 국민을 속이고 세월호 유족들을 두 번 죽인 ‘다이빙 벨’을 옹호하는 다큐를 초청 상영키로 한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이다. □ 오죽하면 세월호 일반인 유족 대책위에서도 24일 성명을 발표하고 “294분의 고인과 10명의 실종자를 두 번 죽이는 매우 심각한 처사”라며 “영화가 상영되면 법적조치도 불사할 방침”이라며 상영중단을 촉구했겠나? □ 개인적으로, 이상호 기자와 이종인 대표가 자비를 들여 ‘다이빙 벨’을 상영하겠다면 그걸 막고 싶은 생각은 없다. 동의하기는 어렵지만 ‘표현의 자유’는 존중되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다. 그러나 세월호의 아픔이 현재 진행형인 상황에서, 국민세금이 60%이상 지원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영화제에서 공식적으로 상영되는 것이라면 문제가 달라진다. 이것이 현재 많은 사람들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다이빙 벨이 상영되는 것’을 문제 삼고 있는 이유다. □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는 지금이라도 다이빙 벨 상영문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부산국제영화제를 사랑하고 걱정하는 수많은 국민들과, 수년간 힘들께 쌓아올린 부산국제영화제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다이빙 벨’ 상영 결정을 철회해줄 것을 기대한다. 2014. 9. 24 국회의원 하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