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주권자 정치 실현을 위한 민중당 정치개혁안 토론회 개최

    • 보도일
      2017. 12. 20.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종훈 국회의원
김종훈 의원은 민중당 정책위원회와 함께 20일(수) 오전 10시 ‘주권자 정치 실현을 위한 민중당 정치개혁안 토론회’를 공동개최. - 민중당 정책위원회와 김종훈 의원실은 선거·정치제도 개혁과 주권자 정치 실현을 위한 민중당 정치개혁안을 발표하고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함. - 토론회는 정태흥 민중당 정책위원장이 발제를 맡고 하승수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최태욱 한림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손우정 성공회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이 토론자로 참여함. 정태흥 민중당 정책위 의장 “독일식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이 정치개혁의 지름길” - 정태흥 정책위 의장은 현행 선거제도는 최다득표자 1인만이 선출되는 승자독식의 선거방식이며 당선자가 아닌 후보를 선택한 유권자의 표는 사표가 되어버리는 불합리한 제도라고 함. 유권자의 표심이 그대로 의석수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선거제도 개혁의 가장 중요한 원칙임. 득표율과 의석수를 일치시키는 연동형비례대표제가 이 원칙을 가장 잘 반영하는 선거제도임. 아울러 지방의회의 민주적 구성을 위해 광역의회는 지역과 비례를 1:1로 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고 기초의회는 한 선거구 당 3~5인을 선출하는 진정한 중대선거구제로 개편해야 함. 또한, 정치선거제도 개혁은 촛불 혁명의 요구를 실현하도록 해야 함. 선거권·피선거권 등 참정권을 만 16세로 대폭 내려 높아지는 청소년의 정치의식을 정치제도가 반영하도록 해야 함. 하승수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비례의석 대폭 확대하되 국회의원 특권 폐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시민사회내에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상황이며 ‘정치개혁 공동행동’의 요구임. -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나 문제가 되는 것이 ‘의석 확대’임. 의석확대는 국회개혁의 문제로 이어지게 됨. 국회의원의 연봉을 낮추고 낭비성 예산을 폐지하거나 줄이는 등의 조치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 민중당의 ‘이중당적 허용’에 찬성함. 세계적으로도 이중당적을 금지한 조항을 찾기 어려움. 선거연합정당이나 정당간 정책연합을 가로막는 것은 과도한 제한임. 이를 정책연합과 비례대표후보자의 연합명부를 허용하기 위해 ‘이중당적’ 금지 조항을 폐지하는 것이 필요함. 최태욱 한림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민주적 공천제도 법제화로 공천 민주주의 실현해야” - 민중당이 제시한 후보 공천시 당원투표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방안에 찬성함. 독일 연방 정당법과 미국의 주법은 당원투표 의무 실시를 규정하고 있음. 당내 공천 과정을 민주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선거를 민주적으로 변혁하는 출발점임. 2015년 중앙선관위가 제시한 권역별 연동제는 전국적 명망가 뿐만 아니라 영남의 노동대표, 호남의 노동대표, 충청권의 노동대표 등 지역 정치인들의 진출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음. 손우정 바꿈 이사 “정치시스템을 바꾸는 정치 모델 개발해야” -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국회개혁을 동반해야 함. 기초의회 개혁을 위해서는 주민참여 방안이 함께 모색되어야 함. 당원의 권리 강화를 통한 진성당원제도 중요하지만 지지자와 함께 당의 정책과 강령을 만들어가는 실험이 진보정당에서도 이루어져야 함. 진보정치 전반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바닥에 떨어진 상태에서 진보정당은 새로운 정치적 비전과 메시지를 제시한 역할을 해야 하며 민중당이 그러한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함. 김종훈 의원 “촛불혁명의 요구와 국민의 뜻을 온전히 담아내도록 정치선거제도를 바꾸자” - 토론회를 공동주최한 김종훈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소수 기득권이 독점해 온 정치를 국민의 뜻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제도로 개혁해야 한다고 함. 선거제도를 공정하게 바꾸는 것이 민심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 비정규직과 청년들의 정당인 민중당은 청소년 참정권 확대, 청년정치참여확대를 위한 추천보조금제 도입, 일하는 사람들이 투표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꿀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