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어제(2일) 대사 29명, 총영사 10명 등 총 39명의 재외 공관장을 발표했다. 이 중 특임공관장으로 임명된 외부인사의 면면은 외교부가 “해당 지역·국가·언어 전문성을 겸비한 인재”라고 포장했지만 기가 찰 정도이다.
카톨릭신자라는 이유로 주교황청 대사에 임명된 이백만 대사, 국회의장 비서실장을 하며 국제활동을 보좌해 봐서 임명된 박금옥 주노르웨이 대사, 독일에서 학교를 나오고 인연이 닿아서 주독일대사가 된 정범구 전 의원, 언론사 국제부장 경험으로 주헝가리 대사가 된 최규식 전 의원, 문대통령 측근으로 상하이총영사로 임명된 박선원 문캠프 안보상황단 부단장.
이들 모두 친문(親文) 정치인이나 노무현·김대중 정부 출신 인사들이다. 파견되는 나라의 언어도 하지 못하고, 왜 임명됐는지도 알지 못했던 4강 대사와 마찬가지로 친문, 캠프 출신 인사들이 재외 공관장으로 다수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의 해외 공관장은 북한 핵 위협에 대한 국제 사회의 공조를 이끌어내고, 평창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전문성과 경험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자리이다. 문재인 정권은 해외 공관장마저 측근과 내편에게 보은을 위해 하사하는 전리품으로 생각하고 있다.
재외공관장뿐만 아니라 이미 현재까지 임명된 30명의 공공기관장 중 23명이 문재인 대통령의 ‘캠코더’인사로 채워지고 있으며, 문재인 대통령의 ‘문혈(文血)’이 새로운 순혈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들께서는 문 대통령이 취임초기에 말했던 ‘인사 대탕평’ 원칙이 몰락하고 국익을 위해 외교 최일선에서 뛰어야 하는 공관장마저 하사품으로 전락한 현실을 보며 절망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정권이 야당 시절 자신들이 그토록 비난했던 ‘전문성 없는 인사, 보은성 낙하산 인사’를 당장 중지하고 모든 인사를 다시 시작하지 않는다면 국민의 지탄을 면치 못할 것임을 강력하게 경고한다.
2018. 1. 3.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 김 성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