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인재추천채용제 : 7급 23%, 9급 38.6% 수도권 출신
- 지방인재채용목표제 : 선발인원 적고, 선발인원 들쑥날쑥
- 공공기관 지역인재 쿼터제 : 전체 공공기관의 42.6%,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률 30% 미만
지역인재 취업을 위한 각종 정부정책이 지방대생에게는 여전히 문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사실은 유기홍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서울 관악 갑)이 지역인재추천채용제, 지방인재채용목표제, 공공기관 지방인재 채용쿼터제를 검토한 결과 나타났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7급 지역별 비율 1위 부산(9.3%), 2위 서울(8.5%), 3위 경기(8.5%)
9급 지역별 비율 1위 경기(38.6%), 2위 서울(13.5%), 3위 인천(9.9%)
※ 표 : 첨부파일 참조
2012년 이후 지역인재추천채용제의 운영실태를 살펴본 결과, 7급의 경우 2012~2014년 선발인원의 약 1/4(23%)이 수도권 출신자로 채워졌다. 물론 지역인재추천채용제는 특정광역의 합격자를 10%(7급)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제한을 한다해도 지역별 채용비율은 수도권과 지방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수도권에서 서울지역과 경기지역 출신자는 각각 전체 채용인원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지방에서 이 비율보다 높게 채용된 지역은 부산지역이 유일하다.(<표1> 참조)
9급의 경우, 전체 채용인원의 38.6%가 수도권 출신이다. 9급은 특정광역의 합격자를 20%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제한범위가 7급보다 크다보니 수도권 출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다. 서울, 인천, 경기지역 각각 전체 채용인원의 13.5%, 9.9%, 15.2%를 차지하고 있는데 지방에서 이 비율 이상으로 채용된 지역은 한 곳도 없다.(<표1> 참조)
5급 공무원, 지방대생 채용인원은 적고 채용여부 예측도 어려워
5급 공무원 대상으로 실시되는 지방인재추천채용제는 지방학교 출신자가 20% 미달일 때 시행되고 추가 합격 상한 인원이 합격 예정 인원의 10% 이내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채용인원이 적고, 연도별 채용인원 변동폭도 크다. 5급 공무원은 2009년 6.2%에서 2011년 4.0%로 떨어졌다가 2012년 6.4%, 2013년 7.1%로 상승했다. 5급 외무공무원의 경우 2009년 4.9%에서 201년 2.9%로 떨어졌다가 2012년 9.4%로 급등한 뒤 2013년 8.1%로 다소 하락했다. 이와 같이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5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지방대생이 채용여부를 전망하기가 매우 어렵다.(<표2> 참조)
※ 표 : 첨부파일 참조
공공기관의 21%는 비수도권 지역인재 전혀 채용하지 않아 서울지역 공공기관의 절반,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률 30% 미만
한편,「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이하「지방대육성법」)이 제정되면서 공공기관은 직원 신규채용시 비수도권 지역인재를 35%이상 채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공공기관의 상당수가 2011년 기획재정부가 제시한 ‘지역인재 30% 채용 가이드라인’조차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공공기관 신규채용 직원 중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비율의 공공기관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공공기관의 42.6%(89곳)에 해당하는 공공기관의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비율이 30%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44곳(21.1%)은 2014년 3명 이상 직원을 채용하면서도 비수도권 지역인재를 전혀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표3> 참조)
※ 표 : 첨부파일 참조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률 30% 미만 공공기관은 서울지역에 집중적으로 포진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지역 공공기관 중 51.4%(57곳)가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률 3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절반 이상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서울지역 공공기관의 비수도권 지역인재 유치가 활성화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서울지역 공공기관이 비수도권 지역인재를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표4> 참조)
반면 지방의 경우 대전과 광주지역을 제외하고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률 30% 미만 공공기관은 없다. 지방에 있는 공공기관은 소재지 출신을 적극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지방에 소재한 공공기관이 전체 공공기관의 28%에 불과할 정도로 공공기관 자체의 지역편차가 매우 커 지방인재의 공공기관 채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도권 공공기관의 적극성이 요구됨을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지역인재채용추천제’,‘지방인재채용목표제’,‘공공기관 지방인재 채용쿼터제’는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정부가 지방인재를 흡수하기 위해 선도적으로 취한 정책이다. 따라서 이들 정책은 민간기업 및 각종 기관의 지방인재 채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기홍 의원은 “지방인재 채용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정부에 지역인재 채용기준 확대, 지방인재 채용률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도입, 지방인재 채용의 의무화 등 구체적 대책마련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