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평
어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발표한 한일 위안부 합의 관련 정부 입장에 대한 비판여론이 들끓고 있다.
정부는 2015년 합의가 양국 공식합의라는 점을 인정하면서 위안부 합의 파기나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매우 크다.
지난 주 위안부 할머니들을 청와대로 초청한 것이 위안부 합의 재협상 공약을 파기하기 위한 수순이었는지, 촛불혁명으로 적폐청산을 외치는 문재인 정부가 박근혜 정부의 ‘적폐합의’를 계승하겠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당사자인 할머니들의 절망감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지, 대통령의 공약을 굳게 믿고 지지한 촛불민의에 반한 결정을 한 이유도 명확히 답해야 할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일 위안부 재협상 공약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지금이라도 초심으로 돌아가 할머니들과 국민들의 마음 속 한을 풀어줄 재협상에 즉각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대일관계, 공식합의 등을 고려한 현실적인 최선의 방법이라는 궁색한 변명보다는 원칙에 입각해 역사를 바로세우는 것이 장기적인 한일관계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