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김현 대변인 브리핑]이명박 전 대통령 40년지기 김백준, 김진모 씨 구속은 사필귀정, 이 전 대통령은 이실직고부터 하라

    • 보도일
      2018. 1. 17.
    • 구분
      정당
    • 기관명
      더불어민주당
김현 대변인, 오전 현안 서면브리핑
 
■ 이명박 전 대통령 40년지기 김백준, 김진모 씨 구속은 사필귀정, 이 전 대통령은 이실직고부터 하라
 
이명박 정권 당시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특수활동비를 상납 받은 혐의로 ‘40년 지기 MB 집사’ 인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이 구속됐다.
 
사필귀정이다.
 
검찰은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이 국정원 측에 인사와 예산 등의 편의를 봐주겠다며 먼저 돈을 요구한 정황을 포착했고, 윗선의 지시에 따른 것인지 까지도 확대 수사할 방침이라고 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측근 수십명과 함께 대책회의를 열었다는 그 자체만으로 이 사건이 정권 차원의 조직적 비리이자, 윗선에 따른 뇌물 수수였음을 의심하게 만든다.
 
이명박 정권하에서 벌어진 국정원 특활비 사건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국정원 자금 21억 원 가량을 미국 계좌로 빼돌린 혐의와 관련해 검찰 수사가 진행되던 중 국정원의 특활비가 청와대에 불법적으로 전달된 정황이 포착돼 수사로 이어졌다.
 
더욱이 김진모 전 비서관은 국정원으로부터 불법적으로 넘겨받은 돈 5천만 원으로 민간인 사찰 의혹 폭로를 입막음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수사를 종합해보면 문제의 5천만 원은 ‘국정원 → 김진모 전 비서관 → 장석명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 → 류충렬 전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 → 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의 흐름으로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비서관은 이후 부산지검 1차장과 대검 기획조정부장을 거쳐 서울남부지검장까지 지내며 박근혜 정권 내내 승승장구했던 인물로, 대표적인 ‘우병우 사단’으로 지목된 인물이다.
 
지금이라도 이명박 전 대통령은 정치보복이라고만 둘러대지 말고, 자신을 둘러싼 모든 의혹을 이실직고부터 해야 한다.
 
다스의 실소유주 의혹,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에 이르기까지 검찰은 신속하고도 철저한 수사로 모든 의혹을 밝혀주길 바란다.
 
2018년 1월 17일
더불어민주당 공보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