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김현 대변인 브리핑] “다스와 도곡동 땅은 누구겁니까?” 이명박 전 대통령은 언제까지 버티기로 일관할 것인가

    • 보도일
      2018. 2. 1.
    • 구분
      정당
    • 기관명
      더불어민주당
김현 대변인, 오전 추가 현안 서면 브리핑   ■ “다스와 도곡동 땅은 누구겁니까?” 이명박 전 대통령은 언제까지 버티기로 일관할 것인가   “다스는 누구 겁니까”라는 다스 실소유주 논란보다 훨씬 이전의 원조 격인 “도곡동 땅 실소유주 논란”이 재점화 되고 있다.   1995년 포스코개발 매입책임자였던 박모 전 팀장은 “도곡동 땅이 이명박 전 대통령 소유이니 부르는 대로 무조건 사라는 회사의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이러한 실무 책임자의 진술은 1998년 감사원 감사 당시 “해당 부지의 실소유자는 이명박 씨로 안다”고 했던 포스코 김만제 회장의 진술과도 일맥상통한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사안은 더욱 엄중해진다. 2008년 2월, “도곡동 땅은 이명박 당선인의 친형인 이상은씨의 지분”이라고 결론 내렸던 검찰의 부실수사 또한 논란과 책임을 피해갈 수 없다.   앞에서는 부자감세와 금산분리 완화를 이야기하며 재벌 봐주기를 하면서, 뒤로는 개인 소유의 땅을 비싼 값에 강매시켜 사리사욕을 채우고 기업 경영에 타격을 주다니, 이것이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의 보수 정권이 핏대 세워 주장해온 “대기업 프랜들리 정책”의 민낯인가.   이제 ‘다스 실소유주 논란’은 ‘도곡동 땅 실소유주 논란’까지로 거슬러 올라갈 수밖에 없게 됐다. 10년 만에 땅값이 15억 원에서 263억 원으로 뻥튀기 된 사실도 매우 의심스러운데다가, 땅 매각 대금의 일부가 다스로 흘러들어간 정황 등을 볼 때 ‘다스 실소유주 의혹’은 ‘도곡동 땅 실소유주 의혹’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내게 물어보라” 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스스로 국민 앞에 대답해야 한다. 대체 “다스와 도곡동 땅은 누구 겁니까?”   검찰 역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재산 차명소유와 차명거래의 정황을 샅샅이 살펴, 비밀재산 형성의 모든 맥락을 국민 앞에 밝혀주기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   2018년 2월 1일 더불어민주당 공보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