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류, 사기․횡령, 살인 관련 사범이 162명으로 53.7% 차지해 -
- 하나원에서 범죄 관련 및 자본주의 교육 강화해야 -
새정치민주연합 심재권 의원(서울 강동을, 외교통일위원회)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최근 4년간 탈북민 수감자는 매해 증가, 총 30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 별로 살펴보면, 탈북민 수감자는 2011년 51명, 2012년 68명(+33.3%), 2013년 86명(+26.4%)을 기록했고, 2014년의 경우 7월 현재 97명(+12.7%)의 탈북민이 수감된 상태로, 2013년 전체 수감자 수 86명을 훨씬 넘어서고 있다.
탈북민 수감자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약류 60명(19.86%), 사기․횡령 56명(18.54%), 살인 46명(15.23%), 폭력 40명(13.24%), 공안 관련 30명(9.93%), 강간 26명(8.60%), 절도 13명(4.30%), 과실범 19명(6.29%), 기타 9명(2.98%), 강도 3명(0.99%) 등이다.
특히 마약류, 사기․횡령, 살인 등 관련 사범이 총 162명으로 전체 53.7%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범죄가 많이 발생한 이유는 우리 사회의 법과 지식에 대한 이해 부족과 향수병 등 탈북민이 우리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 반증한다.
또한 이것은 하나원 내 탈북자들의 자본주의 및 범죄 관련 교육 실태와 관련이 깊다.
하나원은 탈북민들이 우리 사회에 조속히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12주 과정(392시간)의 ‘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 자본주의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시장경제 적응 프로그램’이 총 12시간이 배정되어 총 교육 시간 대비 약 3%정도를 투입하고 있다. 또한 생활 법률 등 범죄관련 교육은 총 17시간으로 전체의 약 4.3%를 차지하고 있다. 탈북민 수감자들의 현황과 비교해 보면 자본주의와 범죄 관련 교육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심재권 의원은 “그간 우리 사회가 탈북민들을 보듬는 노력이 부족했다”며, “탈북민들이 겨우 29시간을 통해 우리 사회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것은 무리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의원은 “하나원에서부터 탈북민들이 범죄에 노출되는 안타까운 현상을 방지하고 이들이 남한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 강화 등을 포함, 정부가 제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참고자료 :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