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문재인, 北 체제 안전 보장 약속하고 ‘핵 보유 국가’ 北 헌법 수정 요구할 수 있어”
“대내외적 위기 맞이한 트럼프, 북미 관계서 성과 내려 할 것”
민주평화당 정동영 의원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핵심의제는 남북관계 발전의 제도화이며, 올해 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 또한 대내외적 위기 맞이한 트럼프 미 대통령도 자랑할 수 있는 성과와 업적을 내야 하기에 북미 정상회담 전망도 밝다”고 주장했다.
정동영 의원은 어제(3일) 채널A ‘외부자들’에 출연하여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협상도 중요하지만, 북한이 원하는 체제 안전 보장을 문재인 대통령이 해줄 수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영토와 주권의 보장, 국경선 존중, 군사적 공격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북한은 핵 보유 국가’라 명시한 북한 헌법에 대해 수정 요구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대북 강경파로 알려진 폼페이오 CIA 국장과 존 볼턴 전 유엔대사를 각각 국무부장관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으로 내정한 것에 대해서 정동영 의원은 크게 우려하지 않았다.
정동영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대내외적으로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미 문제마저 꼬인다면 수렁에 빠지게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클린턴도, 부시도, 오바마도 해결하지 못한 북핵 문제를 내가 풀었다’ 자랑할 수 있는 성과와 업적을 내야하기 때문에 우리가 역할을 해서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동영 의원은 “한반도 비핵화는 북미정상회담 의제로 문재인 대통령은 트럼프를 의식하며 4.27 남북정상회담을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한반도 비핵화로 가는 최고의 시나리오는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할 의제를 던져두고, 5월 북미정상회담을 거쳐 9월 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알맹이를 만드는 것”이라며 “올해 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또한 “군사분계선에서 북쪽으로 2km, 남쪽으로 2km는 권총 정도를 제외하고 어떤 무장도 하지 말자는 합의를 한 지역이지만, 실제로는 GP라고 해서 무장병력이 주둔하고 있다”며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해 비무장지대의 비무장지대화를 합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