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도입
② 서울교통공사 환경 예산투자 비중을 높이고 공기질 개선을 위한 관리ㆍ감독 강화
박영선 의원(더불어민주당/구로구을)은 4월 9일(월)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지하철 역사 공기질 개선으로 미세먼지 없는 맑은 서울을 위한 약속” 기자회견을 가졌다.
기자회견문 전문
오늘은 박영선의 미세먼지 해결-지하철 역사 공기질 개선으로 미세먼지 없는 맑은 서울을 위한 약속을 제시하는 열 세번째 공약을 발표함.
서울시 지하철 역사 공기질 문제
서울시 지하철 역사 1호선~ 4호선의 미세먼지 오염도는 87.8마이크로그램(㎍/㎥)으로 지방 평균 미세먼지 오염도 58.7마이크로그램(㎍/㎥)에 비해 매우 높음.
※ 표 (전국 지하철 역사 미세먼지 평균 오염도 현황) : 첨부파일 참조
2012년 이후 지하철 역사의 실내 공기질은 거의 개선되지 않음.
※ 표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역사 미세먼지 오염도 연도별 현황) : 첨부파일 참조
서울시의 도시철도 기관별 환기설비 7,584대 중 3,254대가 노후설비이며, 특히 지하철 역사의 환기설비 6,067대 중 노후설비는 2,414대로 무려 40%를 차지(노후설비 : 20년 이상 사용한 환기설비)
※ 표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역사 환기설비 현황) : 첨부파일 참조
전국 지하철 역사 중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곳은 인천시만 대합실 등에 234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울시는 전무함.
< 지하철 역사 공기질 개선으로 미세먼지 없는 맑은 서울을 위한 약속 >
①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도입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 통합관리시스템 + 승강장바닥배기시스템 + 벽면형 공기청정기로 구성
※ 그림자료 : 첨부파일 참조
승강장 계단하부 공간을 이용한 바닥집진 장치를 설치해 사이클론 방식을 적용하여 미세먼지 저감을 달성하고 지하철 역사 철 성분 미세먼지를 추가로 집진해 저감.
승강장 벽면설치형 공기정화기 설치시 공간제약이 없고 바닥먼지 포집 및 상부 무풍토출방식으로 지하철 역사 승강장을 최적화하고 실내ㆍ외 미세먼지, 열차운행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제어.
※ 그림자료 (승강장 벽면설치형 공기정화기 설치도) : 첨부파일 참조
* 지하철 역사 미세먼지관리시스템 구축 비용 : 지하철 역사 1개 기준 약 10억원
* 노후 지하철 역사부터 단계적 설치(서울 지하철 1~9호선 역사 수 : 307개)
* 운행 개시 : 1호선(1974년~), 2호선(1980년~), 3호선(1985년~), 4호선(1985년~)
5호선(1995년~), 6호선(2000년~), 7호선(1996년~), 8호선(1996년~)
② 서울교통공사 환경 예산투자 비중을 높이고 공기질 개선을 위한 관리ㆍ감독 강화
서울교통공사 총 예산 투자액은 2016년 기준 약 2조 8,992억원으로 이 중 환경 관련 예산 투자액은 959억원으로 3.3%에 불과
총 예산 투자액 중 환경 예산 투자 비중 최소 5% 이상 증액(약 1,500억)
환경부 「지하역사공기질 개선대책」에 따라 서울시 지하철 역사 공기질 개선 대책 수립 및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한 환경개선설비 설치ㆍ운영 등에 대해 철저한 관리ㆍ감독 체계 구축
2018년 4월 9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박영선